한국철강 목표주가가 낮아졌다.
원재료 가격 인상과 담합 과징금 납부 등으로 3분기 실적이 크게 부진해 올해 전체 영업이익이 주저앉을 것으로 분석됐다.
변종만 NH투자증권 연구원은 16일 한국철강의 목표주가를 기존 8600원에서 6200원으로 낮추고 투자의견은 중립(HOLD)을 유지했다.
한국철강 주가는 15일 534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변 연구원은 “한국철강은 3분기에 원재료인 철스크랩 가격이 크게 올라 철근 스프레드(판매 가격에서 원재료 가격 뺀 것)가 축소했다”며 “부진했던 3분기 실적을 반영해 2018년과 2019년 주당 순이익 전망치를 기존보다 각각 49.4%, 15.2% 내리면서 목표주가도 함께 내려잡았다”고 말했다.
한국철강은 3분기 철근 스프레드가 2만 원 가량 줄었다. 3분기 철근의 평균판매단가는 2분기보다 1톤당 3만 원 올랐지만 철스크랩 가격이 1톤당 5만 원 올랐다.
3분기 철근 판매량은 24만 톤으로 2분기보다 4만 톤 감소했다.
철근 가격 담합 과징금도 3분기 실적 부진에 영향을 미쳤다.
공정거래위원회는 9월 한국철강에 철근 가격 담합을 물어 과징금 175억 원을 부과했다.
과징금은 영업외손실로 반영되면서 한국철강 3분기 실적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철강은 3분기 19억 원 규모의 영업이익에 132억 원 규모의 세전손실을 냈다.
다만 변연구원은 “한국철강은 현금성 자산을 충분히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추가적 주가 하락은 제한적일 것”이라 전망했다.
한국철강은 3분기 말 기준 현금 및 금융상품이 3700억 원 규모로 집계됐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남형 기자]
원재료 가격 인상과 담합 과징금 납부 등으로 3분기 실적이 크게 부진해 올해 전체 영업이익이 주저앉을 것으로 분석됐다.

▲ 장세홍 한국철강 대표이사 사장.
변종만 NH투자증권 연구원은 16일 한국철강의 목표주가를 기존 8600원에서 6200원으로 낮추고 투자의견은 중립(HOLD)을 유지했다.
한국철강 주가는 15일 534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변 연구원은 “한국철강은 3분기에 원재료인 철스크랩 가격이 크게 올라 철근 스프레드(판매 가격에서 원재료 가격 뺀 것)가 축소했다”며 “부진했던 3분기 실적을 반영해 2018년과 2019년 주당 순이익 전망치를 기존보다 각각 49.4%, 15.2% 내리면서 목표주가도 함께 내려잡았다”고 말했다.
한국철강은 3분기 철근 스프레드가 2만 원 가량 줄었다. 3분기 철근의 평균판매단가는 2분기보다 1톤당 3만 원 올랐지만 철스크랩 가격이 1톤당 5만 원 올랐다.
3분기 철근 판매량은 24만 톤으로 2분기보다 4만 톤 감소했다.
철근 가격 담합 과징금도 3분기 실적 부진에 영향을 미쳤다.
공정거래위원회는 9월 한국철강에 철근 가격 담합을 물어 과징금 175억 원을 부과했다.
과징금은 영업외손실로 반영되면서 한국철강 3분기 실적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철강은 3분기 19억 원 규모의 영업이익에 132억 원 규모의 세전손실을 냈다.
다만 변연구원은 “한국철강은 현금성 자산을 충분히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추가적 주가 하락은 제한적일 것”이라 전망했다.
한국철강은 3분기 말 기준 현금 및 금융상품이 3700억 원 규모로 집계됐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남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