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 노동조합이 회사에서 광주형 일자리사업에 동의하면 총파업을 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현대차 노조는 31일 보도자료를 내고 “회사가 광주형 일자리사업 협약을 추진한다면 단체협약 위반에 대한 회사 경영진의 책임을 반드시 물을 것”이라며 “노사관계가 중대한 파국을 맞이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형 일자리사업이 진행돼 벌어지는 모든 사태의 책임이 문재인 정부와 광주광역시, 현대차 등에 있다고 들었다.
노조는 광주형 일자리사업에 참여하는 것이 과거 현대차의 한국전력공사 부지 매입과 같은 경영 실수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노조는 “현대차그룹의 경영위기는 2014년 9월 현대차의 한전부지 고가매입 사태로 시작됐다”며 “회사의 광주형 일자리사업 참여 결정은 제2의 한전부지 사태로 규정한다"고 덧붙였다.
현대차 경영 위기의 근본 원인이 품질경영 실패에 있다고도 비판했다.
노조는 “최근 수년 동안 현대차의 실적이 악화한 것은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의 품질경영이 실패해 리콜 충당금인 판매보증충당금이 2015년부터 큰 폭으로 증가했기 때문”이라며 “보수언론이 노조와 노동자 탓을 하며 왜곡보도하는 데 큰 우려와 분노를 감출 수 없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
현대차 노조는 31일 보도자료를 내고 “회사가 광주형 일자리사업 협약을 추진한다면 단체협약 위반에 대한 회사 경영진의 책임을 반드시 물을 것”이라며 “노사관계가 중대한 파국을 맞이할 것”이라고 말했다.

▲ 하부영 전국금속노조 현대자동차지부 지부장.
광주형 일자리사업이 진행돼 벌어지는 모든 사태의 책임이 문재인 정부와 광주광역시, 현대차 등에 있다고 들었다.
노조는 광주형 일자리사업에 참여하는 것이 과거 현대차의 한국전력공사 부지 매입과 같은 경영 실수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노조는 “현대차그룹의 경영위기는 2014년 9월 현대차의 한전부지 고가매입 사태로 시작됐다”며 “회사의 광주형 일자리사업 참여 결정은 제2의 한전부지 사태로 규정한다"고 덧붙였다.
현대차 경영 위기의 근본 원인이 품질경영 실패에 있다고도 비판했다.
노조는 “최근 수년 동안 현대차의 실적이 악화한 것은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의 품질경영이 실패해 리콜 충당금인 판매보증충당금이 2015년부터 큰 폭으로 증가했기 때문”이라며 “보수언론이 노조와 노동자 탓을 하며 왜곡보도하는 데 큰 우려와 분노를 감출 수 없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