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이 현대중공업그룹의 지주사 전환 과정에 문제가 있는지 살펴보기로 했다.

김 위원장은 15일 국회 정무위원회의 공정거래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제윤경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현대중공업그룹의 지배구조 개편 과정에 배임의 여지가 있다고 지적하자 "사업 기회 유용에 해당하는지 보겠다"고 대답했다. 
 
김상조 "현대중공업 지주사체제 전환 과정 들여다 보겠다"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이 15일 국회 정무위원회의 공정거래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의원들의 질의를 듣고 있다.


제 의원은 이날 현대중공업이 지주사 전환 과정에서 이익을 부당하게 지주사에 몰아줬다고 비판했다. 경영진이 정몽준 현대중공업그룹 최대주주 등 오너일가의 지배력 강화를 위해 배임을 저질렀다는 것이다. 

현대중공업그룹은 지난해 4월 현대중공업을 인적분할을 통해 지주사인 현대중공업지주, 현대중공업, 현대건설기계, 현대일렉트릭 등 4개 회사로 쪼갰다.

이 과정에서 현대중공업지주의 현대중공업 지분은 13.4%에서 27.8%로 뛰었다. 현대중공업지주의 신주와 현대중공업의 자사주를 맞바꾼 결과다.

같은 방법으로 정몽준 최대주주의 지주사 지분은 10.2%에서 25.8%로 늘었고 정기선 현대중공업 부사장은 지주사 지분 5.1%를 확보해 3대주주가 됐다.

제 의원은 현대오일뱅크가 현대오일뱅크가 현대중공업 자회사일 때는 이렇다 할 배당을 하지 않다가 2017년 현대중공업지주로 편입되자 대규모 배당을했다는 점도 문제로 삼았다. 

이에 대해 김 위원장은 "현대중공업그룹의 지주회사 전환 과정에는 소액주주와 노동조합, 시민단체 등 이해관계자들로부터 많은 문제 제기가 있었던 만큼 상황을 들여다보겠다"고 말했다. 

다만 김 위원장은 "자사주 문제 등은 아무래도 공정거래위원회가 직접 다루기보다는 주주들이 직접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 더 정확한 방법이 아닐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비즈니스포스트 고진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