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2분기에 보험회사들의 부실채권 비율과 연체율이 낮아졌다.
금융감독원은 30일 ‘2018년 6월 말 보험회사 대출채권 현황 분석’을 내놓고 “동양생명이 6월에 육류담보대출 관련 연체채권과 부실채권을 대부분 상각하면서 국내 보험회사의 연체율과 부실채권 비율이 크게 떨어졌다”고 말했다.
보험회사의 부실채권 규모는 올해 1분기 9526억 원에서 2분기에 5900억 원으로 줄었다.
동양생명이 6월에 육류담보대출 관련 연체채권과 부실채권 3386억 원을 상각한 것이 크게 영향을 줬다.
보험회사의 부실채권 비율은 2분기 기준으로 0.27%다. 올해 1분기 0.45%보다 0.18%포인트 떨어졌다. 부실채권 비율은 고정이하여신을 총여신으로 나눠 구한다.
대출채권 연체율도 같은 기간 0.52%에서 0.28%로 낮아졌다. 연체채권의 기준은 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다.
보험회사의 전체 대출채권 규모는 늘었다. 2분기 기준으로 전체 대출채권 잔액은 215조3천억 원이다. 1분기 210조9천억 원보다 4조4천억 원(2.1%) 늘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동양생명의 대규모 연체채권 정리로 보험회사의 대출 건전성이 좋아졌다”면서도 “앞으로 금리가 오르면 차주의 채무상환능력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보험회사 가계대출 규모 및 건전성 등 감독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감원은 올해 하반기 안에 ‘여신심사 선진화 가이드라인’을 개정하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기준을 시범운영한다.
주택담보대출의 고정금리대출 및 비거치식 분할상환대출 비중을 높여 가계대출의 구조개선도 적극적으로 유도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상호 기자]
금융감독원은 30일 ‘2018년 6월 말 보험회사 대출채권 현황 분석’을 내놓고 “동양생명이 6월에 육류담보대출 관련 연체채권과 부실채권을 대부분 상각하면서 국내 보험회사의 연체율과 부실채권 비율이 크게 떨어졌다”고 말했다.

▲ 금융감독원은 30일 ‘2018년 6월 말 보험회사 대출채권 현황 분석’을 내놓고 “동양생명이 6월에 육류담보대출 관련 연체채권과 부실채권을 대부분 상각하면서 국내 보험회사의 연체율과 부실채권비율이 크게 좋아졌다”고 말했다.
보험회사의 부실채권 규모는 올해 1분기 9526억 원에서 2분기에 5900억 원으로 줄었다.
동양생명이 6월에 육류담보대출 관련 연체채권과 부실채권 3386억 원을 상각한 것이 크게 영향을 줬다.
보험회사의 부실채권 비율은 2분기 기준으로 0.27%다. 올해 1분기 0.45%보다 0.18%포인트 떨어졌다. 부실채권 비율은 고정이하여신을 총여신으로 나눠 구한다.
대출채권 연체율도 같은 기간 0.52%에서 0.28%로 낮아졌다. 연체채권의 기준은 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다.
보험회사의 전체 대출채권 규모는 늘었다. 2분기 기준으로 전체 대출채권 잔액은 215조3천억 원이다. 1분기 210조9천억 원보다 4조4천억 원(2.1%) 늘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동양생명의 대규모 연체채권 정리로 보험회사의 대출 건전성이 좋아졌다”면서도 “앞으로 금리가 오르면 차주의 채무상환능력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보험회사 가계대출 규모 및 건전성 등 감독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감원은 올해 하반기 안에 ‘여신심사 선진화 가이드라인’을 개정하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기준을 시범운영한다.
주택담보대출의 고정금리대출 및 비거치식 분할상환대출 비중을 높여 가계대출의 구조개선도 적극적으로 유도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