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취업자 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천 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취업자 증가가 8년6개월 만에 1만 명대가 붕괴되면서 최악의 고용상황을 맞았다.
반면 실업자는 103만9천 명으로 7개월 연속 100만 명대를 웃돌았다.
1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7월 고용 동향’에 따르면 7월 취업자 수는 2708만3천 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7월보다 5천 명 증가했다.
2010년 1월 취업자 수가 1만 명 감소한 이후 8년6개월 만에 증가폭이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자 수 증가폭은 2018년 2월 10만4천명으로 나타나 1년9개월 만에 10만 명대로 떨어졌다.
3월과 4월까지 3개월 연속으로 10만 명대를 맴돌다 결국 5월에는 7만2천 명 증가로 10만 명 선이 무너졌고 6월에도 10만 명대 수준에 머물렀다.
산업별로 살펴보면 제조업과 사업시설관리와 사업지원 및임 대서비스업 등에서 감소폭이 컸다.
제조업 취업자는 지난해 7월보다 12만7천 명 감소했다. 두 달째 감소폭이 10만 명을 넘어섰다.
사업시설관리와 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에서도 취업자 수가 10만1천 명 줄었다. 소매·음식숙박업에서도 취업자 수가 8만 명 줄었다.
7월 실업자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만1천 명 증가한 103만9천 명으로 집계됐다. 실업자 수는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7개월 연속으로 100만 명을 웃돌고 있다.
실업자 수가 7개월 이상 연속으로 100만 명을 넘은 것은 1999년 6월~2003년 3월 이후 18년 4개월 만이다.
7월 실업률은 3.7%로 집계돼 1년 전과 비교했을 때 0.3%포인트 높아졌다. 청년(15~29세) 실업률은 9.3%로 지난해 7월과 같은 수준을 보였다.
생산가능인구 가운데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인 고용률은 61.3%로 지난해 7월보다 0.3포인트 하락했다. 15~64세 고용률도 같은기간 0.2%포인트 하락한 67%를 나타냈다.[비즈니스포스트 김현정 기자]
반면 실업자는 103만9천 명으로 7개월 연속 100만 명대를 웃돌았다.

▲ 청년 구직자들이 채용공고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는 모습.<연합뉴스>
1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7월 고용 동향’에 따르면 7월 취업자 수는 2708만3천 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7월보다 5천 명 증가했다.
2010년 1월 취업자 수가 1만 명 감소한 이후 8년6개월 만에 증가폭이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자 수 증가폭은 2018년 2월 10만4천명으로 나타나 1년9개월 만에 10만 명대로 떨어졌다.
3월과 4월까지 3개월 연속으로 10만 명대를 맴돌다 결국 5월에는 7만2천 명 증가로 10만 명 선이 무너졌고 6월에도 10만 명대 수준에 머물렀다.
산업별로 살펴보면 제조업과 사업시설관리와 사업지원 및임 대서비스업 등에서 감소폭이 컸다.
제조업 취업자는 지난해 7월보다 12만7천 명 감소했다. 두 달째 감소폭이 10만 명을 넘어섰다.
사업시설관리와 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에서도 취업자 수가 10만1천 명 줄었다. 소매·음식숙박업에서도 취업자 수가 8만 명 줄었다.
7월 실업자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만1천 명 증가한 103만9천 명으로 집계됐다. 실업자 수는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7개월 연속으로 100만 명을 웃돌고 있다.
실업자 수가 7개월 이상 연속으로 100만 명을 넘은 것은 1999년 6월~2003년 3월 이후 18년 4개월 만이다.
7월 실업률은 3.7%로 집계돼 1년 전과 비교했을 때 0.3%포인트 높아졌다. 청년(15~29세) 실업률은 9.3%로 지난해 7월과 같은 수준을 보였다.
생산가능인구 가운데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인 고용률은 61.3%로 지난해 7월보다 0.3포인트 하락했다. 15~64세 고용률도 같은기간 0.2%포인트 하락한 67%를 나타냈다.[비즈니스포스트 김현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