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이 재건축사업 수주전에서 금품을 살포한 정황이 포착되면서 다른 대형 건설사로 수사가 번질 것으로 보인다.

25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강남권에서 재건축사업 수주전을 벌인 대형 건설사들 위주로 금품 살포 등의 의혹을 확인하기 위한 수사가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재건축 수주전 금품살포 경찰수사 확대되나 대형건설사 촉각

▲  반포주공1단지 1·2·4주구(주거구역 단위) 재건축사업을 담당할 시공사 선정총회가 열린 2017년 9월27일 서울 반포주공1단지 앞에 시공사에 입찰한 현대건설과 GS건설 홍보 현수막이 걸려 있다. <뉴시스>



서울지방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는 4월 말에 현대건설을 압수수색해 확보한 자료들을 검토하면서 현대건설이 수주전에서 홍보요원들의 영업활동을 위해 100억 원의 예산계획을 세운 증거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건설의 홍보대행기업에 소속된 홍보요원들은 조합원들의 표를 얻기 위해 조합원들에게 선물을 제공했고 이 자금으로 수십억 원이 현대건설에서 집행된 내용을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사건은 지난해 ‘단군 이래 최대 재건축사업’으로 꼽힌 서울 서초 반포주공1단지 1·2·4주구(주거구역 단위)에서 벌어진 것으로 의심된다.

이를 놓고 GS건설이 경찰의 다음 수사선상에 오를 가능성이 크다는 말이 건설업계 안팎에서 나온다.

GS건설은 2017년 반포주공1단지 1·2·4주구 재건축사업에서 현대건설과 경쟁했다.

현대건설이 수주전 막판에 ‘이사비 7천만 원’ 공약을 제시하며 조합원들의 표심이 현대건설쪽으로 기울긴 했으나 현대건설이 이사비 전략을 내놓기 전까지만 해도 GS건설이 입지를 다져온 것으로 평가됐다.

인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GS건설 또한 조합원들에게 차량 탑승과 선물 제공 등의 방식으로 영업활동을 벌인 것으로 파악된다.

GS건설이 반포주공1단지 1·2·4주구 재건축사업의 시공사 선정총회를 하루 앞두고 ‘도시정비사업 영업의 질서회복을 위한 GS건설의 선언’이라는 자료를 배포한 것도 이런 영업활동을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고 판단한 임병용 GS건설 대표이사 사장의 판단이 개입된 것으로 전해진다.

GS건설은 비슷한 시기에 서울 서초 한신4지구 재건축사업 수주전에서도 현장 홍보요원을 통한 영업활동을 벌였다.

경찰은 GS건설이 재건축사업 수주전에서 조합원들에게 금품을 제공했다는 내용의 제보들을 입수해 내사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물산도 조사 대상에 오를 수 있다. 삼성물산이 서울 강남권의 재건축사업들을 한때 휩쓸었던 만큼 의혹을 살펴볼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삼성물산이 2015년 말에 벌어진 서초무지개아파트 재건축사업 수주전 이후 2년 반가량 강남권 재건축사업에 발을 넣고 있지 않다는 점을 놓고 수사 가능성이 낮다는 말도 나온다.

경찰은 이미 2017년 말 롯데건설을 두 차례 압수수색한 데 이어 올해 1월 대우건설을 압수수색하는 등 재건축사업 수주전의 부정행위와 관련한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