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국제선 호조에 힘입어 올해 실적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김영호 삼성증권 연구원은 4일 “대한항공은 최근 3년 동안 미주 노선과 유럽 노선이 각각 해마다 평균 6.5%와 11%씩 늘어났다”며 “해외여행 수요의 성장에 힘입어 중단거리 노선뿐 아니라 장거리 노선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고 바라봤다.
대한항공은 장거리 노선 호조에 힘입어 국제선 여객 매출이 대폭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올해 국제선에서 여객 수송이 지난해보다 9.3% 증가해 국제선 탑승률이 지난해보다 2.7%포인트 오를 것으로 분석됐다.
올해 국제선 여객매출이 7조2624억 원으로 지난해보다 11.1%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델타항공과 조인트벤처를 운영하는 점도 대한항공이 올해 국제선에서 여객수송을 늘리는 데 한몫할 것으로 보인다.
김 연구원은 “대한항공은 조인트벤처 운영을 통해 올해 미주 노선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라며 “아시아로 가는 환승 수요를 유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대한항공은 올해 연결기준으로 매출 13조718억 원, 영업이익 1조546억 원을 거둘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보다 매출은 8.1%, 영업이익은 12.2% 증가하는 것이다.
아시아나항공도 해외여행 증가에 수혜를 입어 국제선 여객이 호조를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올해 국제선 여객매출이 지난해보다 6.2% 늘어날 것으로 추산됐다.
아시아나항공은 올해 연결기준으로 매출 6조5285억 원, 영업이익 2928억 원을 거둘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보다 매출은 4.8%, 영업이익은 6.1% 증가하는 것이다.
중국 노선 수요도 회복할 가능성이 높아 올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실적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김 연구원은 “최근 중국 정부가 사드보복 조치를 해제할 가능성이 높아졌다”며 “이에 따라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올해 중국 노선을 정상화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비즈니스포스트 박경훈 기자]
김영호 삼성증권 연구원은 4일 “대한항공은 최근 3년 동안 미주 노선과 유럽 노선이 각각 해마다 평균 6.5%와 11%씩 늘어났다”며 “해외여행 수요의 성장에 힘입어 중단거리 노선뿐 아니라 장거리 노선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고 바라봤다.

▲ 조원태 대한항공 대표이사 사장(왼쪽)과 김수천 아시아나항공 대표이사 사장.
대한항공은 장거리 노선 호조에 힘입어 국제선 여객 매출이 대폭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올해 국제선에서 여객 수송이 지난해보다 9.3% 증가해 국제선 탑승률이 지난해보다 2.7%포인트 오를 것으로 분석됐다.
올해 국제선 여객매출이 7조2624억 원으로 지난해보다 11.1%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델타항공과 조인트벤처를 운영하는 점도 대한항공이 올해 국제선에서 여객수송을 늘리는 데 한몫할 것으로 보인다.
김 연구원은 “대한항공은 조인트벤처 운영을 통해 올해 미주 노선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라며 “아시아로 가는 환승 수요를 유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대한항공은 올해 연결기준으로 매출 13조718억 원, 영업이익 1조546억 원을 거둘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보다 매출은 8.1%, 영업이익은 12.2% 증가하는 것이다.
아시아나항공도 해외여행 증가에 수혜를 입어 국제선 여객이 호조를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올해 국제선 여객매출이 지난해보다 6.2% 늘어날 것으로 추산됐다.
아시아나항공은 올해 연결기준으로 매출 6조5285억 원, 영업이익 2928억 원을 거둘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보다 매출은 4.8%, 영업이익은 6.1% 증가하는 것이다.
중국 노선 수요도 회복할 가능성이 높아 올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실적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김 연구원은 “최근 중국 정부가 사드보복 조치를 해제할 가능성이 높아졌다”며 “이에 따라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올해 중국 노선을 정상화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비즈니스포스트 박경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