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가 발생했던 2014년 4월16일 박근혜 대통령이 첫 보고를 받은 시각이 박근혜 정부 청와대가 주장한 오전 10시보다 20분 정도 늦은 오전 10시20분경으로 드러났다.
검찰은 당시 청와대가 주장한 세월호 보고 및 지시 시간이 모두 조작됐다고 28일 발표했다.

▲ 박근혜 전 대통령.
검찰에 따르면 김장수 당시 국가안보실장은 오전 10시12분경 상황보고서 제 1보를 전달받았다. 김 실장은 보고를 위해 박근혜 대통령에게 두 차례 전화를 걸었으나 받지 않았고 김 실장은 안봉근 비서관에게 전화를 걸어 "대통령이 전화를 받지 않는다. 대통령에게 보고할 수 있도록 조치해달라"고 말한 것으로 밝혀졌다.
박 대통령은 안 비서관이 부르는 소리를 듣고 10시20분경 이날 최초로 침실 밖으로 나온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이 “한 명의 인명피해도 없게 하라”고 지시한 시간도 당시 주장했던 10시17분보다 약 5분 늦은 10시22분이었다.
최순실씨가 사고 당일 오후 청와대에 들어가 박 대통령과 함께 대처 방안을 논의한 사실도 새롭게 밝혀졌다.
서울중앙지검특수1부(부장검사 신자용)는 28일 허위공문서 작성 및 행사 혐의로 김장수 전 국가안보실장과 김기춘 전 비서실장을 불구속기소했다고 밝혔다.
검찰은 이들이 ‘세월호 골든타임’을 놓쳤다는 비난을 피하기 위해 허위 공문서를 작성해 제출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윤휘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