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배터리소재사업을 새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을 하는 데 순항하고 있다.
김미송 케이프투자증권 연구원은 6일 “포스코가 배터리소재사업에서 순항하고 있다”며 “포스코는 리튬을, 계열사인 포스코ESM과 포스코켐텍에서 양극재와 음극재 생산량을 늘리면서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있다”고 피악했다.
포스코는 2월 말 호주 광산개발회사인 필바라와 지분 4.75%를 1400억 원에 인수하고 연간 24만 톤 리튬정광을 장기구매하기로 계약을 맺었다. 필바라는 서호주에 있는 필강구라 리튬광산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는 광산개발 전문회사다.
포스코는 1월 말 중국 화유코발트와 합작해 전구체와 양극재 생산법인도 세웠다.
화유코발트는 전 세계 코발트 수요의 50%를 공급할 수 있는 세계 최대 코발트 생산회사다.
포스코가 필바라, 화유코발트와 협력해 생산하기로 한 리튬과 전구체, 양극재 등은 리튬이온배터리를 만드는 데 꼭 필요한 소재다. 전기차와 스마트폰 등 수요가 늘어나면서 최근 리튬과 코발트 등 배터리소재 가격도 가파른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포스코는 자회사 포스코ESM과 포스코켐텍에서도 배터리소재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포스코ESM은 양극재를, 포스코켐텍은 음극재 생산사업을 주력으로 삼고 있는 회사인데 포스코가 포스코ESM과 포스코켐텍 지분을 각각 75%, 60% 보유하고 있다.
김 연구원은 “포스코가 올해 실적 성장세를 안정적으로 이어갈 뿐 아니라 배터리소재사업에서 성장동력까지 확보했다”며 “포스코가 철강회사 가운데 성장 전망이 가장 밝다”고 바라봤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지혜 기자]
김미송 케이프투자증권 연구원은 6일 “포스코가 배터리소재사업에서 순항하고 있다”며 “포스코는 리튬을, 계열사인 포스코ESM과 포스코켐텍에서 양극재와 음극재 생산량을 늘리면서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있다”고 피악했다.

▲ 권오준 포스코 대표이사 회장.
포스코는 2월 말 호주 광산개발회사인 필바라와 지분 4.75%를 1400억 원에 인수하고 연간 24만 톤 리튬정광을 장기구매하기로 계약을 맺었다. 필바라는 서호주에 있는 필강구라 리튬광산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는 광산개발 전문회사다.
포스코는 1월 말 중국 화유코발트와 합작해 전구체와 양극재 생산법인도 세웠다.
화유코발트는 전 세계 코발트 수요의 50%를 공급할 수 있는 세계 최대 코발트 생산회사다.
포스코가 필바라, 화유코발트와 협력해 생산하기로 한 리튬과 전구체, 양극재 등은 리튬이온배터리를 만드는 데 꼭 필요한 소재다. 전기차와 스마트폰 등 수요가 늘어나면서 최근 리튬과 코발트 등 배터리소재 가격도 가파른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포스코는 자회사 포스코ESM과 포스코켐텍에서도 배터리소재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포스코ESM은 양극재를, 포스코켐텍은 음극재 생산사업을 주력으로 삼고 있는 회사인데 포스코가 포스코ESM과 포스코켐텍 지분을 각각 75%, 60% 보유하고 있다.
김 연구원은 “포스코가 올해 실적 성장세를 안정적으로 이어갈 뿐 아니라 배터리소재사업에서 성장동력까지 확보했다”며 “포스코가 철강회사 가운데 성장 전망이 가장 밝다”고 바라봤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