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북한 특별사절단 수석으로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을 임명했다.

특별사절단은 북한 방문을 마치고 한국으로 돌아와 귀국보고를 한 뒤 미국을 찾아 방북 결과를 설명한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4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열고 “문 대통령은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을 수석으로 하는 특별사절단 북한에 파견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문재인, 북한 특사로 정의용과 서훈 5일 보내기로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특별사절단은 정 실장을 비롯해 서훈 국가정보원장, 천해성 통일부 차관, 김상균 국가정보원 2차장, 윤건영 청와대 국정상황실장 등 5명으로 구성됐다. 여기에 실무진 5명을 더해 모두 10명이 북한을 방문한다.

특별사절단은 5일 오후 특별기를 타고 서해 직항로를 통해 북한에 도착한 뒤 1박2일 동안 평양에 머물며 북측 고위급 관계자들과 한반도 평화정착과 남북관계 발전을 위한 대화를 나눈다.

윤 수석은 “특별사절단 방북은 평창올림픽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파견한 김여정 특사 방남에 대한 답방의 의미가 있다”며 “특별사절단은 특히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북미 대화 여건 조성, 남북 교류 활성화 등 남북관계 개선문제 등을 포괄적으로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6일 오후 돌아오는 특별사절단은 귀국보고를 마친 뒤 미국을 방문해 미측에 방북 결과를 설명할 예정”이라며 “중국, 일본과도 긴밀히 협의를 이어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정의용 실장은 대표적 '미국통'으로 정 실장이 대북 특별사절단의 수석을 맡은 데는 북미 대화의 중재자 역할을 바라는 문 대통령의 의지가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서훈 국정원장은 2000년과 2007년 남북 정상회담을 모두 담당한 '대북통'으로 정 실장과 함께 북미 대화 전반을 논의하는 동시에 남북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는 논의를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서 원장은 1일 문 대통령이 대북특사 파견을 공식화한 뒤 유력 특사 후보로 꼽혀왔다.

청와대는 이번 대표단의 방북과 관련해 남북관계기본법 제15조에 따라 ‘대북특사’가 아닌 ‘대북특별사절단’이라는 용어를 쓰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정의용 실장의 공식직함은 대북특사가 아닌 ‘대북 특별사절단 수석’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이한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