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주택시장이 장기간 부진에서 벗어나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저출산과 고령화 등 인구구조 변화로 곧 한계를 맞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도 일본과 유사한 주택시장 변화에 직면할 수 있어 체계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국은행은 4일 '일본 주택시장 동향과 제약 요인' 보고서를 통해 최근 일본 주택시장에서 회복세가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1990년대 초반 이후부터 장기간 약세를 보이고 있던 일본 주택가격이 수도권을 중심으로 최근 약 5년 동안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일본 정부의 경기부양 정책과 관광업 활성화에 따른 상업용 부동산 수요 증가, 장기간 조정을 거친 뒤 가격 회복세가 나타난 점 등이 주택시장 회복의 배경으로 꼽혔다.
하지만 한국은행은 일본에서 가계소득 개선 속도가 늦고 저출산과 고령화가 계속 진행돼 주택 수요 확대에 한계가 있는 만큼 구조적으로 회복세가 이어지기는 어렵다고 바라봤다.
한국은행은 "일본의 사례를 볼 때 주택시장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며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대응을 더 강화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한국도 인구 고령화와 저출산 추세가 계속되고 있어 일본과 비슷한 형태의 주택시장 변화가 벌어질 수 있다는 관측이 이어지고 있다.
한국은행은 한국에도 이미 지방에서 빈집이 늘어나는 등 주택 거래가 둔화되는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며 다양한 정책수단 등을 활용한 체계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바라봤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
한국도 일본과 유사한 주택시장 변화에 직면할 수 있어 체계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 한국은행의 일본 주택시장 분석자료. <한국은행>
한국은행은 4일 '일본 주택시장 동향과 제약 요인' 보고서를 통해 최근 일본 주택시장에서 회복세가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1990년대 초반 이후부터 장기간 약세를 보이고 있던 일본 주택가격이 수도권을 중심으로 최근 약 5년 동안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일본 정부의 경기부양 정책과 관광업 활성화에 따른 상업용 부동산 수요 증가, 장기간 조정을 거친 뒤 가격 회복세가 나타난 점 등이 주택시장 회복의 배경으로 꼽혔다.
하지만 한국은행은 일본에서 가계소득 개선 속도가 늦고 저출산과 고령화가 계속 진행돼 주택 수요 확대에 한계가 있는 만큼 구조적으로 회복세가 이어지기는 어렵다고 바라봤다.
한국은행은 "일본의 사례를 볼 때 주택시장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며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대응을 더 강화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한국도 인구 고령화와 저출산 추세가 계속되고 있어 일본과 비슷한 형태의 주택시장 변화가 벌어질 수 있다는 관측이 이어지고 있다.
한국은행은 한국에도 이미 지방에서 빈집이 늘어나는 등 주택 거래가 둔화되는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며 다양한 정책수단 등을 활용한 체계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바라봤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