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 SH공사 아파트에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 적용

▲ LG유플러스가 서울주택도시공사, 아이콘트롤스, 코맥스, 코콤 등 홈네트워크회사와 사업협약을 맺고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을 도입한 아파트를 만든다. (왼쪽부터) 코콤 고성춘 사장, LG유플러스 권영수 대표이사 부회장, 서울주택도시공사 김세용 사장, 코맥스 변우석 대표이사 부사장, 아이콘트롤스 정현 대표이사.

LG유플러스가 서울주택도시 등과 손잡고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을 적용한 아파트를 짓는 데 참여한다.

LG유플러스는 23일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 코맥스, 코콤 등 홈네트워크회사와 업무협약을 맺고 사물인터넷(IoT) 아파트 사업을 함께 추진한다고 25일 밝혔다.

LG유플러스는 제휴회사들과 함께 목소리를 알아듣고 음성명령을 실행하는 ‘인공지능 아파트’를 만드는 데 힘을 보탠다.

입주민은 음성으로 간편하게 살림을 꾸릴 수 있다.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는 △냉난방·조명·가스 제어·무인택배 등 홈네트워크 시스템 △에어컨·로봇청소기 등 개별 구매한 사물인터넷(IoT) 가전 작동 △플러그·블라인드 등 ‘홈 사물인터넷(IoT)서비스’ 등이다.

인공지능이 상황과 조건에 맞춰 스마트홈 서비스를 추천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욕실 불 켜줘’라고 말하면 욕실조명을 켬과 동시에 ‘보일러를 온수모드로 바꿉니다’라며 날씨에 맞는 온도의 물을 추천해주는 방식이다. 

‘엘리베이터 불러줘’라고 하면 엘리베이터를 부르고 마지막 주차위치도 알려준다. 또 ‘외출 10분 뒤에 로봇청소기를 실행할까요’라고 가전제품 작동을 제안한다.

권영수 LG유플러스 대표이사 부회장은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 기술의 접목은 아파트 주거 환경수준을 한 단계 끌어 올릴 것”이라며 “이번 사업협약으로 입주민 편의가 크게 높아질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LG유플러스는 2016년 SH공사와 홈 사물인터넷(IoT)플랫폼 구축 협약을 맺었다. 지난해 서울시 송파구 레미니스 아파트단지에 기존 홈네트워크 시스템과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스마트폰앱으로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했다. 

LG유플러스는 인공지능스피커와 사물인터넷 월패드 등 서비스를 바탕으로 국내에서 가장 많은 60개 건설 관련 회사와 손잡았다. 현재 국내 홈 사물인터넷시장에서 100만 가구를 가입자로 확보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나병현 기자] LG유플러스, SH공사 아파트에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 적용LG유플러스, SH공사 아파트에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 적용LG유플러스, SH공사 아파트에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 적용LG유플러스, SH공사 아파트에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 적용LG유플러스, SH공사 아파트에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 적용 LG유플러스, SH공사 아파트에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 적용 LG유플러스, SH공사 아파트에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 적용 LG유플러스, SH공사 아파트에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 적용LG유플러스, SH공사 아파트에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 적용LG유플러스, SH공사 아파트에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