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평창동계올림픽 통해 5G 주도권 쥘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이학무 미래에셋대우 연구원은 31일 “KT는 평창올림픽에서 5G 서비스를 국내외에 선보이며 5G 주도권을 쥘 수 있을 것”이라며 “SK텔레콤이나 LG유플러스보다 많은 유선설비 기반을 갖추고 있는 점도 5G 시대에 경쟁력으로 부각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KT, 평창올림픽  5G 시범서비스로 경쟁의 주도권 쥘 듯

▲ 황창규 KT 대표이사 회장.


KT는 2월9일 개막하는 평창동계올림픽에서 세계 최초로 5G 시범서비스를 선보인다. 

이날 강릉 올림픽파크와 서울 광화문광장에 ‘5G 홍보관’을 열고 5G 네트워크가 만들어낼 미래를 일반인들이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했다.

KT가 선보이는 5G 기술 가운데 자율주행버스, 체감형 가상현실(VR)방송 등이 집중적으로 조명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KT는 평창올림픽에서 가상현실에 스포츠를 접목한 5G 시범서비스를 선보이는데 가상현실은 5G의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앱)이 될 수 있다.

 이번 5G 시범서비스를 통해 경쟁력 있는 5G 가상현실 서비스를 발굴하는 데 초점을 맞출 것으로 예상된다.

KT는 대부분의 국내 통신 필수설비를 보유하고 있어 5G를 구축하는 데 유리한 것으로 평가된다.

통신 필수설비란 전신주, 광케이블, 통신관로 등 전기통신사업에 필수적 유선설비를 말한다. 유선설비는 초고속인터넷, 유료방송은 물론 LTE와 5G 구축에도 필요한데 KT는 국내 전체 전신주의 93%, 관로의 72%, 광케이블의 53%를 보유하고 있다.

5G가 상용화되면 대용량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 져 유선설비의 전송능력 차이가 주요한 경쟁요인으로 부각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유선설비 경쟁력이 높은 KT가 5G 시대에 경쟁우위를 점할 가능성이 있다.

이 연구원은 “KT의 5G 시범서비스와 유선 경쟁력은 5G 경쟁우위에 기여할 수 있는 요인”이라며 “다만 KT는 상용화가 가능한 5G의 핵심 앱을 찾아야 하는 숙제가 있다”고 분석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나병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