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과 조종사노조가 2015년과 2016년 임금협상을 마무리했다.
조종사노조는 임금협상 잠정합의안을 놓고 조합원 찬반투표를 진행한 결과 찬성 54.98%(392명), 반대 44.46%(317명)으로 가결됐다고 26일 밝혔다.
조합원 1045명 가운데 68.23%인 713명이 투표에 참여했다.
회사 관계자는 “3년 동안 타결하지 못한 임금협상을 이번에 타결한 만큼 앞으로 발전적 노사관계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며 “노조와 대화와 타협을 통해 2017년 임금과 단체협상을 타결하는 데 힘을 쏟겠다”고 말했다.
노사는 10일 2015년 임금을 1.9%, 2016년 임금을 3.2% 올리고 보안수당을 5천 원을 인상하는 방안으로 잠정합의안을 마련했다.
공항에서 대기만 하고 실제로 비행 임무를 수행하지 않은 조종사에 국내선 체류잡비를 지급하는 내용도 합의안에 포함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박경훈 기자]
조종사노조는 임금협상 잠정합의안을 놓고 조합원 찬반투표를 진행한 결과 찬성 54.98%(392명), 반대 44.46%(317명)으로 가결됐다고 26일 밝혔다.

▲ 조원태 대한항공 사장(왼쪽)과 김성기 대한항공조종사노조 위원장.
조합원 1045명 가운데 68.23%인 713명이 투표에 참여했다.
회사 관계자는 “3년 동안 타결하지 못한 임금협상을 이번에 타결한 만큼 앞으로 발전적 노사관계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며 “노조와 대화와 타협을 통해 2017년 임금과 단체협상을 타결하는 데 힘을 쏟겠다”고 말했다.
노사는 10일 2015년 임금을 1.9%, 2016년 임금을 3.2% 올리고 보안수당을 5천 원을 인상하는 방안으로 잠정합의안을 마련했다.
공항에서 대기만 하고 실제로 비행 임무를 수행하지 않은 조종사에 국내선 체류잡비를 지급하는 내용도 합의안에 포함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박경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