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8호선에서 올해 안에 기존보다 100배 빠른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4일 자체 개발한 모바일 핫스팟 네트워크 기술이 지하철에 적용하기 위한 시험과정을 통과해 이르면 오는 6월부터 서울 지하철에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모바일 핫스팟 네트워크 기술은 초당 1기가비트(Gbps)급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초고속 와이파이 기술로 지하철에서 550여 명이 동시에 고화질 동영상을 볼 수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이 기술이 적용되면 기존에 사용하던 와이브로 기반보다 100배 빠르고 LTE 기반보다는 30배 빠르게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오는 6월부터 서울 지하철 8호선에 시범 서비스를 진행한 뒤 연말에 2호선, 2019년에 1호선과 3~7호선, 9호선에 확대 적용하기로 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서울교통공사와 SK텔레콤, KT, 중소기업 등과 함께 공동 연구를 수행했고 지난해 말 서울 지하철 8호선의 5개 역사 구간에서 최종기술 검증을 마쳤다.
정현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5G기가서비스 연구부문장은 “최종 기술 검증에는 기술이전 및 공동연구를 수행한 중소기업들의 제품이 함께 적용돼 상용 가능성이 확인됐다”며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시행되면 세계 최초의 상용 서비스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주연 기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4일 자체 개발한 모바일 핫스팟 네트워크 기술이 지하철에 적용하기 위한 시험과정을 통과해 이르면 오는 6월부터 서울 지하철에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연구진들이 모바일 핫스팟 네트워크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모바일 핫스팟 네트워크 기술은 초당 1기가비트(Gbps)급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초고속 와이파이 기술로 지하철에서 550여 명이 동시에 고화질 동영상을 볼 수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이 기술이 적용되면 기존에 사용하던 와이브로 기반보다 100배 빠르고 LTE 기반보다는 30배 빠르게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오는 6월부터 서울 지하철 8호선에 시범 서비스를 진행한 뒤 연말에 2호선, 2019년에 1호선과 3~7호선, 9호선에 확대 적용하기로 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서울교통공사와 SK텔레콤, KT, 중소기업 등과 함께 공동 연구를 수행했고 지난해 말 서울 지하철 8호선의 5개 역사 구간에서 최종기술 검증을 마쳤다.
정현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5G기가서비스 연구부문장은 “최종 기술 검증에는 기술이전 및 공동연구를 수행한 중소기업들의 제품이 함께 적용돼 상용 가능성이 확인됐다”며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시행되면 세계 최초의 상용 서비스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주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