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이 여수공장에 3천억 원을 투자해 고부가가치 화학제품 생산능력을 늘린다.
LG화학은 2019년 상반기까지 여수공장에 모두 3천억 원을 투자해 아크릴산과 고흡수성수지(SAP) 생산설비를 증설한다고 26일 밝혔다.
손옥동 LG화학 기초소재사업본부장 사장은 “이번 증설작업을 통해 원료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게 됐을 뿐 아니라 고부가가치제품인 고흡수성수지 매출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며 “고부가가치제품 중심으로 화학 사업구조를 바꿔 어떤 상황에서도 돋보이는 성과를 낼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LG화학은 증설작업을 통해 여수공장의 아크릴산 생산능력을 기존보다 18만 톤 늘어난 70만 톤, 고흡수성수지 생산능력을 10만 톤 늘어난 50만 톤으로 확대한다.
LG화학 관계자는 “이번 증설작업을 통해 연간 매출이 3천억 원 넘게 늘어나는 효과를 볼 것”이라며 “나프타분해시설(NCC)에서 생산된 프로필렌으로 아크릴산을, 아크릴산으로 고흡수성수지를 생산하는 수직계열화 생산체계를 더욱 강화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아크릴산은 고흡수성수지와 아크릴섬유, 도료, 점·접착제, 코팅제 등의 원료로 쓰이는 화학제품을 말한다. LG화학은 2004년 국내에서 처음으로 아크릴산 촉매 및 제조공정기술을 확보했다.
아크릴산부문은 독일 화학회사 바스프, 미국 화학회사 다우, 일본 화학회사 미쓰비시 등 세계적 규모의 기업만 공정기술을 보유하고 있는데 LG화학이 이들과 아크릴산시장에서 경쟁하게 된 것이다.
아크릴산과 가성소다를 중합하면 고흡수성수지를 만들 수 있다. 고흡수성수지는 자기무게의 최대 500배에 이르는 순수한 물을 흡수할 수 있을 만큼 흡수력이 좋아 제품의 90% 이상이 유아·성인용 기저귀, 여성용품 등 원료로 쓰인다.
고흡수성수지를 제조하기 위해서 높은 기술력이 요구되는 만큼 독일 화학회사 에보닉과 바스프, LG화학 등 소수 회사만 고흡수성수지를 생산할 수 있다고 LG화학은 설명했다.
LG화학이 현재 국내에서 진행하고 있는 기초소재부문 투자는 1조 원 규모를 넘는다.
LG화학은 고부가합성수지인 엘라스토머와 고기능합성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차세대 고흡수성수지, 친환경 합성고무 등 고부가가치 제품 매출을 현재 4조 원 규모에서 2020년 7조 원 규모로 늘릴 계획을 세워뒀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지혜 기자]
LG화학은 2019년 상반기까지 여수공장에 모두 3천억 원을 투자해 아크릴산과 고흡수성수지(SAP) 생산설비를 증설한다고 26일 밝혔다.

▲ 손옥동 LG화학 기초소재사업본부장 사장.
손옥동 LG화학 기초소재사업본부장 사장은 “이번 증설작업을 통해 원료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게 됐을 뿐 아니라 고부가가치제품인 고흡수성수지 매출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며 “고부가가치제품 중심으로 화학 사업구조를 바꿔 어떤 상황에서도 돋보이는 성과를 낼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LG화학은 증설작업을 통해 여수공장의 아크릴산 생산능력을 기존보다 18만 톤 늘어난 70만 톤, 고흡수성수지 생산능력을 10만 톤 늘어난 50만 톤으로 확대한다.
LG화학 관계자는 “이번 증설작업을 통해 연간 매출이 3천억 원 넘게 늘어나는 효과를 볼 것”이라며 “나프타분해시설(NCC)에서 생산된 프로필렌으로 아크릴산을, 아크릴산으로 고흡수성수지를 생산하는 수직계열화 생산체계를 더욱 강화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아크릴산은 고흡수성수지와 아크릴섬유, 도료, 점·접착제, 코팅제 등의 원료로 쓰이는 화학제품을 말한다. LG화학은 2004년 국내에서 처음으로 아크릴산 촉매 및 제조공정기술을 확보했다.
아크릴산부문은 독일 화학회사 바스프, 미국 화학회사 다우, 일본 화학회사 미쓰비시 등 세계적 규모의 기업만 공정기술을 보유하고 있는데 LG화학이 이들과 아크릴산시장에서 경쟁하게 된 것이다.
아크릴산과 가성소다를 중합하면 고흡수성수지를 만들 수 있다. 고흡수성수지는 자기무게의 최대 500배에 이르는 순수한 물을 흡수할 수 있을 만큼 흡수력이 좋아 제품의 90% 이상이 유아·성인용 기저귀, 여성용품 등 원료로 쓰인다.
고흡수성수지를 제조하기 위해서 높은 기술력이 요구되는 만큼 독일 화학회사 에보닉과 바스프, LG화학 등 소수 회사만 고흡수성수지를 생산할 수 있다고 LG화학은 설명했다.
LG화학이 현재 국내에서 진행하고 있는 기초소재부문 투자는 1조 원 규모를 넘는다.
LG화학은 고부가합성수지인 엘라스토머와 고기능합성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차세대 고흡수성수지, 친환경 합성고무 등 고부가가치 제품 매출을 현재 4조 원 규모에서 2020년 7조 원 규모로 늘릴 계획을 세워뒀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