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이 보합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점점 오르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16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11월13일 기준으로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와 비교해 보합세를 보였다.
기준금리가 오를 가능성이 커지고 입주물량이 늘 것으로 예상되면서 아파트 수요가 줄어든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09% 올랐다. 지난주 0.08% 오른 것보다 상승폭이 확대됐다.
강남구의 아파트 매매가격이 지난주 0.16%에서 이번 주 0.22%로 오름폭이 커졌다. 송파구 아파트 매매가격도 지난주보다 상승폭이 0.02%포인트 커져 이번주 0.13%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경기는 0.02%, 인천은 0.03% 올라 지난주와 같은 오름세를 보였다.
지방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0.04% 하락했다. 지난주 0.02% 하락한 것보다 내림폭이 2배 커졌다.
대전은 정비사업이 활발하거나 학군과 교통이 좋은 지역을 중심으로 아파트 매매가격이 올라 전체 0.09% 상승했다. 부산과 울산, 경상권에서는 하락폭이 커졌다.
전남과 강원은 상승폭을 유지했고 광주와 세종, 제주는 보합세로 돌아섰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도 지난주 0.01% 상승한 것과 비교해 보합전환했다.
서울은 0.05% 올랐다. 경기와 인천은 각각 0.01%, 0.03% 상승했다.
지방은 지난주 0.01% 내린 것과 비교해 하락폭이 0.03%로 커졌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대전(0.15%)과 세종(0.08%), 전북(0.06%) 등은 상승세를 이어갔다. 경남(-0.2%)과 충남(-0.17%), 경북(-0.09%) 등은 하락세를 보였다. 제주는 변동이 없었다. [비즈니스포스트 박소정 기자]
하지만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점점 오르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 11월13일 기준으로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와 비교해 보합세를 보였다.
16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11월13일 기준으로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와 비교해 보합세를 보였다.
기준금리가 오를 가능성이 커지고 입주물량이 늘 것으로 예상되면서 아파트 수요가 줄어든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09% 올랐다. 지난주 0.08% 오른 것보다 상승폭이 확대됐다.
강남구의 아파트 매매가격이 지난주 0.16%에서 이번 주 0.22%로 오름폭이 커졌다. 송파구 아파트 매매가격도 지난주보다 상승폭이 0.02%포인트 커져 이번주 0.13%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경기는 0.02%, 인천은 0.03% 올라 지난주와 같은 오름세를 보였다.
지방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0.04% 하락했다. 지난주 0.02% 하락한 것보다 내림폭이 2배 커졌다.
대전은 정비사업이 활발하거나 학군과 교통이 좋은 지역을 중심으로 아파트 매매가격이 올라 전체 0.09% 상승했다. 부산과 울산, 경상권에서는 하락폭이 커졌다.
전남과 강원은 상승폭을 유지했고 광주와 세종, 제주는 보합세로 돌아섰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도 지난주 0.01% 상승한 것과 비교해 보합전환했다.
서울은 0.05% 올랐다. 경기와 인천은 각각 0.01%, 0.03% 상승했다.
지방은 지난주 0.01% 내린 것과 비교해 하락폭이 0.03%로 커졌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대전(0.15%)과 세종(0.08%), 전북(0.06%) 등은 상승세를 이어갔다. 경남(-0.2%)과 충남(-0.17%), 경북(-0.09%) 등은 하락세를 보였다. 제주는 변동이 없었다. [비즈니스포스트 박소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