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 동안 5대 건설사 가운데 삼성물산의 건설현장에서 안전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했다.
31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박덕흠 자유한국당 의원이 국토교통부에게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삼성물산, 현대건설, 대우건설, 대림산업, 포스코건설 등 주요 5대 건설사의 건설현장에서 모두 1643건의 안전사고가 발생했다. 사상자는 모두 1659명이었다.
지난 5년 동안 건설현장의 사고건수를 살펴보면 삼성물산은 484건, 현대건설은 481건, 대우건설은 463건, 포스코건설은 166건, 대림산업은 112건으로 나타났다.
삼성물산은 해마다 96.8건의 사고가 발생한 셈으로 2~3일 만에 한 번씩 사고를 겪었다.
박 의원은 “삼성물산과 현대건설, 대우건설의 경우 사흘에 한 번, 포스코건설은 매주, 대림산업은 열흘에 한 번꼴로 안전사고가 터지는 셈”이라고 말했다.
박 의원은 “전체 건설공사 사고의 89.6%는 현행 법령 및 제도의 미비보다는 관련 규정을 준수하지 않는 등 현장관리가 소홀해 발생하고 있다”며 “하도급업체가 시공할 때 안전규정을 준수할 수 있도록 대형 건설사들이 현장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주연 기자]
31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박덕흠 자유한국당 의원이 국토교통부에게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삼성물산, 현대건설, 대우건설, 대림산업, 포스코건설 등 주요 5대 건설사의 건설현장에서 모두 1643건의 안전사고가 발생했다. 사상자는 모두 1659명이었다.

▲ 박덕흠 자유한국당 의원.
지난 5년 동안 건설현장의 사고건수를 살펴보면 삼성물산은 484건, 현대건설은 481건, 대우건설은 463건, 포스코건설은 166건, 대림산업은 112건으로 나타났다.
삼성물산은 해마다 96.8건의 사고가 발생한 셈으로 2~3일 만에 한 번씩 사고를 겪었다.
박 의원은 “삼성물산과 현대건설, 대우건설의 경우 사흘에 한 번, 포스코건설은 매주, 대림산업은 열흘에 한 번꼴로 안전사고가 터지는 셈”이라고 말했다.
박 의원은 “전체 건설공사 사고의 89.6%는 현행 법령 및 제도의 미비보다는 관련 규정을 준수하지 않는 등 현장관리가 소홀해 발생하고 있다”며 “하도급업체가 시공할 때 안전규정을 준수할 수 있도록 대형 건설사들이 현장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주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