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입사원 1천 명 가운데 7명만 임원으로 승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전국 219개 기업을 대상으로 '2014년 승진․승급관리 실태조사'를 한 결과를 보면 현재의 직급별 승진율이 유지된다고 가정할 때 신입사원이 임원으로 승진하는 비율은 0.74%로 파악됐다.

1천 명이 입사하면 7.4명 임원이 된다는 뜻이다.이 수치는 2005년 12명에서 2011년 7.9명, 올해 7.4명으로 감소 추세를 보였다. 신입사원이 부장으로 승진하는 비율은 2.41%였다.

규모별로 보면 대기업의 부장승진 비율은 1.8%, 임원승진 비율은 0.47%였다. 중소기업은 부장승진 비율이 11.5%, 임원승진 비율은 5.6%였다.

사무직 대졸 신입사원이 부장으로 승진하는 데 실제로 걸리는 시간은 평균 17.9년, 임원까지는 평균 22.1년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1년 결과인 17.3년(신입사원→부장), 21.2년(신입사원→임원)에 비해 각각 0.6년, 0.9년 늘어난 것이다.

경총은 “60세 정년 의무화 등 최근 노동시장 변화에 대응해 기업들이 승진연한을 늘리는 추세가 반영된 것으로 추정된다”며 “앞으로 정년 의무화 등이 시행되면 이런 추세는 더욱 심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사무직 승진 때 고려되는 요인은 부장급의 경우 '관리능력'(33.5%), '개인성과'(19.8%), '근속연수'(19.6%), '직무전문성'(14.0%) 순으로 조사됐다. 과장급의 경우 '직무전문성'(29.2%), '개인성과'(25.0%), '근속연수'(19.9%), '관리능력'(13.9%) 순으로 파악됐다. [비즈니스포스트 강우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