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월부터 8월까지 국내에 입국한 중국인 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절반 수준으로 급감했다.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 배치를 둘러싼 중국의 경제보복 여파인 것으로 파악됐다.
6일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국내에 입국한 중국인은 302만2590명(연인원 기준)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7.4% 줄었다.
같은 기간 다른 나라 입국자 수는 증가 추세를 보였다. 일본은 3.7%, 미국은 1.8%, 대만은 10.5%, 태국은 3.7%, 베트남은 27.8%, 러시아는 17.1% 늘었다.
전체 입국자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중국인 입국자 수가 크게 줄어들면서 이 기간 전체 외국인 입국자는 903만1794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2% 감소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박소정 기자]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 배치를 둘러싼 중국의 경제보복 여파인 것으로 파악됐다.

▲ 중국정부의 사드배치와 관련한 경제보복조치 여파로 관광객들이 줄어든 인천공항 면세점 모습. <뉴시스>
6일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국내에 입국한 중국인은 302만2590명(연인원 기준)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7.4% 줄었다.
같은 기간 다른 나라 입국자 수는 증가 추세를 보였다. 일본은 3.7%, 미국은 1.8%, 대만은 10.5%, 태국은 3.7%, 베트남은 27.8%, 러시아는 17.1% 늘었다.
전체 입국자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중국인 입국자 수가 크게 줄어들면서 이 기간 전체 외국인 입국자는 903만1794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2% 감소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박소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