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겸 MBC 사장이 부당노동행위로 혐의를 조사를 받기 위해  출석했다.

김 사장은 5일 고용노동부 서울서부고용노동지청에 나타나 "당당히 조사받고 가겠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몇일간 언론자유와 방송독립을 어떻게 지킬까 고민해 왔다”라며 “사실상 무소불위의 언론노조를 상대로 무슨 부당노동행위를 하겠나”고 되물었다.
 
김장겸, MBC 부당노동행위 조사 받기 위해 자진출석

▲ 김장겸 MBC 사장이 5일 오전 서울 마포구
고용노동부 서울서부지청으로 출석하고 있다. <뉴시스>


MBC 노조가 김 사장을 막아서 부당노동행위를 놓고 입장을 물어보면서 몸싸움이 벌어지기도 했다.

언론노조 MBC본부 관계자는 “김 사장이 어느 날 갑자기 MBC에 떨어지지 않았고 보도국장부터 고속승진해서 온 사람이기 때문에 부당노동행위와 무관할 수 없다”고 비난했다.

전국언론노동조합 MBC본부는 6월 사측이 노동3권을 침해하는 부당노동행위를 서울서부고용노동지청에 특별근로감독을 신청했다. 이에 따라 서부고용노동지청은 김 사장에게 출석을 요구했으나 김 사장은 몇 차례 거부했다.

이에 따라 서울서부지검은 1일 법원으로부터 체포영장을 발부받았다.

MBC 노조는 2012년 파업 이후 노조원에게 부당해고와 징계가 내려졌고 기존 직무와 관계없는 자리로 인사조치된 건이 90명에 이른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 MBC가 카메라기자들을 대상으로 블랙리스트를 작성해 성향을 분석해 인사관리 한 사실이 노조가 발견한 문건을 통해서 드러나기도 했다.

전국MBC 기자회는 이명박과 박근혜 전 대통령 시절부터 편파보도를 하면서 이에 걸맞는 기사를 쓰지 않는 기자들은 현장에서 배제했다고 주장했다.

김 사장은 이명박 박근혜 정부에서 보도국장 등 핵심자리를 맡으면서 부당한 전보인사와 해고를 주도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전국언론노동조합 MBC본부는 8월29일 총파업 찬반투표를 통해 총파업을 결의했고 4일부터 김 사장의 퇴진을 요구하며 총파업에 들어갔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윤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