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왼쪽부터)함영주 KEB하나은행장, 김정태 하나금융그룹 회장, 민응준 핀크 대표,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이 4일 서울 중구 KEB하나은행 본점에서 열린 핀크 출범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하나금융그룹은 4일 서울 중구 KEB하나은행 명동 본점에서 핀크 출범 기념식을 열었다.
핀크는 하나금융그룹과 SK텔레콤이 각각 51%, 49%의 비율로 출자한 합작법인으로 금융과 정보통신기술(ICT)을 결합해 만든 생활금융플랫폼이다.
김정태 하나금융그룹 회장, 함영주 KEB하나은행장, 정수진 하나카드 사장, 박정호 SK텔레콤 사장, 이인찬 SK텔레콤 서비스부문장, 민응준 핀크 대표이사 등 관계사 임직원 100여명이 참석했다.
핀크는 △고객의 지출내역과 현금흐름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SEE ME’ △지출내역을 바탕으로 올바른 소비습관을 조언하는 챗봇서비스 ‘FINGO’ △제휴사와 연계를 통해 적합한 금융상품 등을 추천하는 ‘FIT ME’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함 행장은 핀크가 2030세대에게 건전한 소비습관을 제시하는 이정표 역할을 할 것으로 내다봤다.
함 행장은 “금융은 단순히 예금이나 대출 등 금융상품을 제공했던 기존 서비스에서 벗어나 고객이 자산을 늘릴 수 있는 본질적인 방법에 접근해야 한다”며 “핀크는 고객들이 쉽게 저축하고 합리적으로 소비할 수 있도록 도와 궁극적으로 자산형성의 조력자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 사장은 인공지능(AI)에 기반한 핀크의 성장에 자신감을 보였다.
박 사장은 “SK텔레콤은 4차 산업혁명시대에 발맞춰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각종 정보통신기술(ICT)을 준비하고 있고 이런 기술과 금융이 융합돼 핀크가 탄생했다”며 “핀크는 SK텔레콤의 인공지능 사업과 궤를 같이 하는 만큼 시간이 지날수록 불어나는 데이터로 소비자들에게 놀라운 경험을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 대표는 출범식이 끝난 뒤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핀크를 은행이 아닌 데이터사업자로 정의했다.
민 대표는 “핀크를 은행이 아닌 데이터사업자라고 결론내리고 데이터를 많이 모으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며 “은퇴한 고령자들을 위한 금융조력 서비스도 준비하고 있는 만큼 더욱 차원 높은 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인터넷전문은행 진출을 놓고는 유보적인 태도를 보였다. 민 대표는 “금융당국의 정책 방향과 핀크의 생활금융플랫폼 서비스 취지가 맞다면 고려해볼 수도 있다”고 말했다.
예정욱 핀크 재무전략 부서장은 “인터넷전문은행은 모회사인 SK텔레콤과 하나금융그룹이 의사결정하는 것”이라며 “지금까지 내부적으로 검토된 것은 없다”고 덧붙였다. [비즈니스포스트 김현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