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층세라믹콘덴서(MLCC) 전문기업인 삼화콘덴서가 차량용 MLCC 시장공략에 집중한 성과를 봐 올해 영업이익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됐다.
김장열 골든브릿지증권 연구원은 24일 “MLCC의 주요 매출처가 디스플레이에서 자동차 전장부품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다”며 “당분간 차량용 MLCC의 성장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 |
||
▲ 황호진 삼화콘덴서 대표. |
전장부품의 성능이 좋아질수록 안전성 확보를 위해 필요한 MLCC의 탑재량도 늘어난다. 특히 빠르게 보급이 확대되고 있는 전기차의 경우 일반 자동차보다 MLCC 수요가 훨씬 많다.
삼화콘덴서는 현대모비스와 LG전자 등 주요고객사를 통해 차량용 MLCC를 글로벌 완성차업체에 공급하고 있다. 삼성전기에 이어 국내 MLCC 2위업체로 자리잡았다.
삼성전기는 주로 삼성전자와 애플 등 스마트폰업체에 MLCC를 공급하기에도 빠득해 차량용 MLCC의 매출비중을 늘리기 쉽지 않다.
삼화콘덴서는 이런 시장변화에서 모바일향 매출이 큰 삼성전기보다 더 적극적으로 차량용 MLCC 수요증가에 대응해 가파른 실적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됐다.
김 연구원은 “삼화콘덴서의 차량용 MLCC 매출비중이 지속적으로 늘며 실적개선에 기여할 것”이라며 “성장가능성이 높은 분야인 만큼 사업전망이 밝다”고 평가했다.
삼화콘덴서는 올해 매출 1920억 원, 영업이익 153억 원을 낼 것으로 추정됐다. 지난해보다 매출은 11%, 영업이익은 61% 늘어나는 것이다.
김 연구원은 하반기부터 MLCC의 평균가격 상승세가 이어지고 친환경자동차의 수요도 본격적으로 확대되며 삼화콘덴서가 강력한 성장동력을 확보하게 될 것으로 내다봤다.
24일 삼화콘덴서 주가는 직전거래일보다 4.71% 오른 2만3350원으로 장을 마쳤다. 올해 초와 비교하면 주가가 123% 급등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