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직접구매(해외직구)가 전체 민간소비의 0.2% 수준까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직구는 소비자가 온라인 쇼핑을 통해 해외에서 물품을 직접 구매해 배송받는 소비형태를 말한다.
한국은행은 16일 ‘최근 해외직구 동향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올해 상반기 해외직구 규모는 727만6천 건, 7538억 원에 이르러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건수로 45.7%, 금액으로 48.5% 늘었다”며 “이는 올해 상반기 한국경제의 민간소비(370조 원) 가운데 0.2%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해외직구는 신발, 의류 등 해외와 국내의 가격차이가 큰 품목을 중심으로 최근 빠르게 늘고 있다. 지난해 해외직구 금액은 1조1356억 원으로 전년보다 42.8% 늘면서 처음으로 1조 원을 넘어섰다.
민간소비에서 해외직구 금액이 차지하는 비중도 2012년 0.11%에서 지난해 0.16%로 높아졌고 올해 들어 처음으로 0.2% 대로 올라섰다.
한은은 이 보고서에서 “아직은 민간소비 대비 비중이 미미한 수준이지만 그 비중은 지속적으로 높아질 것”이라며 “소비자의 후생증가, 국산품의 가격하락 유도 등 긍정적 영향도 있지만 수입품의 국산품 대체에 따른 국내생산 위축 , 일자리 감소 등 한국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있다”고 평가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은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