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항공우주산업 앞날이 간단치 않다.
검찰수사로 방산비리기업으로 낙인찍히면 완제기 수출사업 등에 빨간불이 켜질 수 있다.
하성용 전 사장의 사임으로 새로운 대표이사가 들어선다고 해도 대규모 인적쇄신의 소용돌이를 겪을 수밖에 없다.
◆ 한국항공우주사업, 각종 사업 당분간 속도내기 힘들어
20일 방산업계에 따르면 검찰의 방산비리 수사로 한국항공우주산업이 그동안 추진해온 각종 사업에 제동이 걸릴 위기에 처했다.
![]() |
||
▲ 하성용 한국항공우주산업 전 사장. |
문재인 정부는 방산비리를 안보에 구멍을 뚫는 ‘이적행위’로 간주하고 이를 뿌리뽑기 위해 한국항공우주산업을 방산비리 적폐청산의 표적으로 삼으면서 앞으로 사업추진에서 숱한 난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방산기업의 특성상 한 번 비리기업이라는 오명이 씌워질 경우 앞으로 사업을 수주하는 데 치명상을 입게 된다. 방위사업청과 함께 추진하는 개발사업에 각종 규제가 심해질 수 있고 완제기를 수출도 힘들어질 수 있다.
최진명 케이프투자증권 연구원은 “관련자 처벌과 기관의 징계까지 석달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보이며 단기적으로는 부당이득 반환 등 일회성비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며 “방산비리가 올해 안으로 간단히 해결될 것 같지 않다”고 바라봤다.
한국항공우주산업은 수리온을 올해 안에 처음으로 수출하려는 목표를 세웠으나 사실상 이 계획을 달성하기 힘들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감사원에 따르면 수리온에서 그동안 설계결함에 따라 프로펠러와 기체의 충돌사고가 발생했을뿐 아니라 엔진결함, 방풍유리 파손 등 온갖 결함이 발생했다.
한국항공우주산업은 현재 약 5600억 원 규모의 수리온 수출을 추진하고 있는데 해외 국가들이 수리온의 결함을 이유로 헬기구입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거나 미룰 가능성이 있다.
올해 말 입찰결과가 나오는 미국의 고등훈련기 교체사업에도 불똥이 튈 것으로 보인다.
한국항공우주산업은 현재 미국 방산기업 록히드마틴과 손잡고 17조 원 규모에 이르는 초기사업을 수주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 경쟁기업들이 한국항공우주산업의 비리수사를 약점으로 삼아 수주전에 사용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 한국항공우주산업, 인적쇄신 소용돌이 불가피
한국항공우주산업은 수주로 일감을 확보해야 생존이 가능하다. 이런 특성 때문에 한국항공우주산업이 방산비리 의혹과 관련된 고리를 끊어내는 등 조직을 쇄신하는 작업을 추진하는데 총력을 기울여야 시장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게 된다.
하성용 전 사장은 특정 협력기업에 거래를 몰아줬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이 협력기업들은 하 전 사장이 대우중공업에서 일할 당시 인연을 맺었던 사람들이 대표로 재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
||
▲ 한국항공우주산업이 개발한 한국형기동헬기 '수리온'. |
한국항공우주산업이 외부 협력기업과 수상한 관계를 말끔히 해소하지 못할 경우 앞으로 사업을 추진하는데 계속 부담을 안게 된다.
핵심인력의 교체도 불가피해질 것으로 보인다.
한국항공우주산업은 1999년에 삼성항공우주산업과 대우중공업, 현대우주항공 등 3개 대기업의 항공기사업부분이 합쳐져 출범했는데 하 전 사장이 대표이사에 취임한 뒤 대우출신 인사들이 대거 요직에 발탁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하 전 사장의 핵심 측근으로 분류되는 한국항공우주산업의 국내사업본부장과 경영지원본부장, 구매본부장 등이 경영비리에 개입한 의혹이 있다고 보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산업이 검찰수사 이후 대규모 인력쇄신으로 한차례 홍역을 겪을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대목이라고 할 수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