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이 금호타이어 상표권을 놓고 고민이 깊다.

채권단은 13일까지 채권단에서 제시한 조건을 수용할지 여부를 알려달라고 했으나 금호산업은 이사회를 18일로 잡았다.

박 회장이 그만큼 고심하고 있다는 뜻으로 보이는데 시간을 최대한 벌면서 금호타이어 매각과 관련한 정치권의 우호적 움직임을 최대한 지켜보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금호타이어 매각 막기 위해 박삼구가 기댈 곳은 정치권 뿐  
▲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
금호아시아나그룹 관계자는 13일 “금호산업이 금호타이어 상표권 사용조건을 놓고 채권단 최종안을 논의하기 위해 18일 이사회를 개최할 것”이라며 “금호산업 이사들 일정을 조율해 일정을 잡았다”고 말했다.

금호산업 관계자는 “금호산업 이사 가운데 한 명이 부친상을 당해 일정을 조정하다보니 채권단이 제시한 기한보다 늦어졌다”고 설명했다.

금호산업 이사는 8명인데 박 회장과 박세창 금호아시아나그룹 전략경영실 사장을 제외한 6명 가운데 5명이 참석해야 정족수를 충족할 수 있다. 박 회장과 박세창 사장은 이해관계자인 만큼 의결권이 없다.

박 회장이 채권단의 최종제안을 받아들일지는 미지수다.

박 회장은 채권단의 최종제안을 받아들일 경우 금호타이어를 사실상 더블스타에 넘겨주게 된다.

이 경우 더블스타는 금호타이어 방산부문 인수승인을 산업통상자원부장관에 신청하고 채권단과 금호타이어 채권만기 연장을 놓고 협상을 진행하는 등 매각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하지만 금호타이어 방산부문 비중이 작은데다 채권단이 더블스타에 금호타이어를 매각하는 방안을 유일한 경영정상화 방안으로 파악하고 있는 만큼 더블스타가 향후 절차에서 난항을 겪을 가능성은 적다.

박 회장이 채권단 최종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채권단이 금호타이어의 경영권을 박탈하고 금호타이어를 부도처리할 수밖에 없다고 압박하는 점은 부담이다.

이렇게 되면 박 회장은 금호타이어를 잃을 뿐만 아니라 채권단에 담보로 제공한 금호홀딩스 지분이 넘어가 금호아시아나그룹 지배권이 흔들릴 수 있다.

채권단은 7일 주주협의회를 열어 금호타이어 상표권 사용조건을 결정하고 금호산업에 13일까지 수용여부를 알려달라고 통보했다.

채권단은 7일 더블스타가 요구한 0.2% 사용요율, 5년 의무사용과 15년 추가사용이라는 상표권 사용조건을 금호산업이 받아들이는 대신 채권단 측에서 12년6개월 동안 더블스타와 박 회장의 사용요율 차이인 0.3%만큼을 보전해주겠다고 최종 제안했다.

금호산업 입장에서는 5년 동안 금호타이어 상표권 사용요율로 0.5%를 받을 수 있지만 그 뒤 7년6개월 동안 0.3%만 받는 것인데 12년6개월 동안 사용요율 0.38%를 평균적으로 받는 셈이다.

박 회장이 현 상황에서 기댈 수 있는 곳은 정치권의 우호적 움직임이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에서는 금호타이어가 대표적인 호남기업이라는 점을 들어 금호타이어의 해외매각을 반대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런 목소리가 커질 경우 산업은행 등 채권단은 금호타이어의 매각에 적잖은 부담을 느낄 수밖에 없다.

금호타이어 임원들이 더블스타 매각에 반대하면서 전원 사퇴라는 카드를 들고 나온 것도 박 회장에게 우호적인 정치권의 움직임에 더욱 힘을 실으려 하는 것으로 보인다. [비즈니스포스트 박경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