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제철이 자동차용강판 가격으로 인상으로  수익이 늘어나 차입금을 줄이는 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재원 KB증권 연구원은 11일 “현대제철은 금융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해 차입금을 줄일 필요가 있다”며 “제품가격을 올리면서 이익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차입금을 줄이는 전략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파악했다.

  현대제철, 가격인상으로 수익 늘어 차입금 감소 긍정적  
▲ 강학서 현대제철 사장.
현대제철은 5월 말에 자동차용강판 가격을 톤 당 6만 원씩 인상하기로 했다. 5월 출고된 제품부터 인상된 가격을 소급적용하기로 했다.

1분기 판재류와 봉형강류 제품 판매량은 518만 톤이었는데 이 가운데 30%에 해당하는 151만 톤에 인상된 가격이 적용됐을 것으로 이 연구원은 추정했다.

이 연구원은 “현대제철은 가격인상으로 2분기에 603억7천만 원, 하반기에 905억 원의 매출 상승효과를 볼 것”이라며 “4분기까지 가격변동이 없을 경우 올해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183억5천 만원이 오르는 효과를 볼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대제철은 3월 말 기준으로 차입금 11조1천억 원, 부채비율 88.9%를 보이고 있다.

현대제철은 가격인상 효과로 차입금을 줄이는 데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현대제철이 인상된 가격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현대제철은 원재료 가격이 오르면서 5월에 제품가격도 올릴 수 있었다. 하지만 원재료 가격은 가격인상 이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2분기 철광석 평균가격은 톤 당 66.6달러로 1분기보다 22.1% 떨어졌다. 그러나 2분기 원료탄 평균가격은 218.3달러로 29.2% 올랐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수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