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역보험공사가 창립 25주년을 맞아 국민들의 신뢰를 높이고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한 중장기 혁신계획을 세웠다.
무역보험공사는 ‘국민과 고객에게 신뢰받는 무역·투자·금융 안전망’이라는 새로운 비전 아래 5개년 중장기 혁신계획을 발표했다고 6일 밝혔다.
![]() |
||
▲ 문재도 한국무역보험공사 사장. |
이번 혁신안을 통해 2022년까지 지속가능한 경영기반을 확보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에 따라 경영의 효율성을 높여 매년 순이익을 거두고 기금규모를 지속적으로 확충하기로 했다.
또 민간보험사의 자본건정성 지표로 널리 쓰이는 지급여력비율(RBC)을 중점관리지표로 설정했다. 지급여력비율은 보험사가 예상하지 못한 손실을 입었을 때 보험계약자에게 보험금을 지급할 수 있는 순자산을 얼마나 많이 보유하고 있는지 나타내는 지표다.
현재 무역보험공사의 지급여력비율은 120% 가량인데 우량보험사 판별기준으로 널리 쓰이는 200% 이상으로 끌어올리기로 했다.
이 밖에도 2022년까지 무역보험 지원규모는 190조 원으로, 중소중견기업 지원규모는 65조 원으로 늘리는 목표를 세웠다. 지난해와 비교해 무역보험 지원은 21.8%, 중소중견기업 지원은 47.7% 확대하는 것이다.
무역보험공사는 이번 계획에 따라 △중소중견기업 지원확대 △일자리창출 기능 강화 △4차산업혁명 주도 △서비스혁신 △해외프로젝트 수주지원 강화 △경영내실화 등 6가지 혁신과제를 중심으로 사업을 강화한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용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