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 연료전지사업이 문재인 정부의 신재생에너지정책에 따른 수혜를 입어 핵심사업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이지훈 SK증권 연구원은 28일 “두산의 연료전지부문이 핵심사업으로 떠오르고 있다”며 “올해를 기점으로 연료전지부문의 매출비중이 크게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 |
||
▲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 |
두산은 현재 미국 코네티컷과 전북익산에 연료전지공장을 두고 있다.
미국과 익산공장은 각각 440kW(킬로와트)짜리 발전용 연료전지를 144기 만들 수 있는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다. 두산은 2014년에 인수한 미국의 클리어엣지파워를 인수하면서 연료전지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문재인 정부는 신재생에너지의무사용비율(RPS)를 2018년부터 매년 1%포인트씩 높이겠다는 방침을 세워뒀다. 이렇게 되면 두산이 고객기업을 한국전력발전자회사 6곳 외에 12곳의 민자발전사로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이 연구원은 바라봤다.
이 연구원은 “두산이 올해 발표했던 연료전지 신규수주목표 1조 원을 초과달성할 것”이라며 “올해 연료전지부문 매출비중이 전체매출에서 12%로 확대되고 2018년에는 20%에 근접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두산은 올해 연료전지부문에서 매출 3121억 원, 영업이익 118억 원을 낼 것으로 추산됐다. 지난해와 비교해 매출은 66.7% 늘고 영업이익은 흑자로 전환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