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롯데월드의 롯데월드타워(555m, 123층)에 화재가 날 경우 피해를 막을 수 있는 골든타임(5분) 확보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02층에 있는 피난용 승강기를 이용해 고층부 이용자 모두를 지상으로 대피시키는 데 한 시간이 넘게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별피난계단을 이용하면 2시간 가량 걸린다.
![]() |
||
▲ 제2롯데월드 조감도 |
9일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임수경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소방방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제2롯데월드 롯데월드타워 102층에 있는 피난안전구역으로 대피한 1700여 명(수용가능 인원)이 4대의 피난용 승강기를 이용해 아래층까지 가려고 할 때 걸리는 시간은 63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승강기가 정지해 특별피난계단을 이용할 경우 118분이 소요되는 것으로 추정됐다.
롯데월드타워에서 화재 등 재난이 발생하면 입주자나 방문객은 우선 22·40·60·83·102층에 각각 설치된 피난안전구역으로 이동한 뒤 피난용 승강기와 계단을 이용해 지상으로 대피하게 된다. 최상층부 이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피난용 승강기는 102층에 4대(30인승)가 있다.
임 의원은 “미국 9·11테러 당시 세계무역센터의 타워Ⅱ는 45분 만에 붕괴했고 타워Ⅰ은 1시간45분 만에 무너졌다”며 “이런 예를 보면 제2롯데월드가 충분한 안전대피시간이 확보된 것인지 의구심이 든다”고 지적했다.
임 의원은 또 “초고층건물 화재 때 적정 골든타임 가이드라인이 없는 상황”이라며 “초고층건물은 지진이나 화재가 발생할 경우 인명대피와 탈출에 장애요소가 많은 만큼 각 건물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적정한 골든타임 확보 가이드라인을 만들고 이를 토대로 철저한 관리와 점검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문했다.
서울시는 지난 2일 제2롯데월드 저층 상업시설 개장을 허가했다. 단 제2롯데월드가 교통과 안전대책 약속을 지키지 않으면 승인을 취소한다는 조건을 달았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은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