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상선이 내년에는 흑자전환도 기대해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SM상선은 올해가 운항 첫해인 만큼 2분기까지 초기 비용투자가 이어지고 3분기 이후 실적개선을 가늠해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
||
▲ 유창근 현대상선 사장. |
이한준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2일 “현대상선은 2분기부터 장기계약 운임의 상승분이 실적에 반영돼 영업손실폭이 줄어들 것”이라며 “지금 수준의 운임으로 올해 흑자를 내기는 어렵겠지만 운임이 추가로 오르면 점차 적자폭이 줄어 내년에 영업흑자를 기대할 수 있다”고 바라봤다.
선박회사는 매년 4월 화주와 1년 동안의 운임을 결정하는 장기계약을 맺거나 단발성으로 시세에 맞춰 운임을 결정한다.
현대상선 전체매출 가운데 장기계약 물량비중이 40%로 높아 장기계약 운임이 실적에 미치는 영향도 크다.
올해 장기계약에서 지난해보다 30~40% 오른 운임을 결정한 덕에 2분기부터 적자폭을 줄일 것으로 이 연구원은 내다봤다.
현대상선이 용선료와 하역비 등 비용절감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는 점도 적자폭 감소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됐다.
이 연구원은 “현대상선은 비용절감 노력으로 용선료를 꾸준히 줄이고 있다”며 “올해 1월 롱비치터미널 지분 20%를 확보해 하역비도 점차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현대상선은 2분기에 연결기준으로 매출 1조3997억 원, 영업손실 443억 원을 낼 것으로 추정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31.7% 늘어나고 영업손실은 2100억 원 줄어드는 것이다.
![]() |
||
▲ 김칠봉 SM상선 사장. |
SM상선은 한진해운의 명맥을 이어 4월 20일부터 미주노선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이 연구원은 “SM상선은 중고선박을 구입해 다른 선사보다 적은 비용을 지출했다”며 “반면 해운조합에 가입하지 않아 장거리노선을 운항하면 다른 선사보다 비용이 크게 발생할 수 있다”고 파악했다.
SM상선은 올해 1분기에 영업손실 76억 원을 냈는데 대부분이 판관비성 비용으로 큰 의미를 부여하기는 어렵다고 이 연구원은 판단했다. 2분기 이후 손실폭이 확대될지 축소될지도 현재로서 가늠하기 어렵다고 바라봤다.
올해 운항을 시작한 미주노선에서 컨테이너 적재량을 얼마나 채울 수 있을가 향후 실적에서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SM상선은 미주노선 가운데 롱비치행에서 전 세계 물동량 호조로 전체 컨테이너공간 가운데 실제 화물을 실은 비율이 80%를 기록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부산행은 적재비율이 낮을 가능성도 있다고 이 연구원은 봤다.
SM상선은 올해 운항을 처음 시작한 만큼 3분기가 지나고 운항을 안정화한 뒤에야 실적의 향방을 판가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비즈니스포스트 서하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