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LPG(액화석유가스)시장의 양대축인 SK가스와 E1이 서로 다른 길을 걷고 있다.
SK가스는 석유화학용 LPG 공급에 힘입어 회생의 길로 접어든 반면 E1은 수송용 LPG 업황악화에 따른 타격을 고스란히 받고 있다.
![]() |
||
▲ 최창원 SK케미칼 부회장. |
아람코는 국내 LPG회사에 5월치 프로판을 톤당 430달러, 부탄을 톤당 390달러에 공급하고 있다.
이는 4월 공급가격보다 프로판은 톤당 45달러, 부탄은 100달러 인하된 것이다. 아람코는 올해 3월부터 프로판과 부탄 등 LPG 공급가격을 직전달보다 낮춰서 공급하고 있다.
구현지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미국 셰일가스회사들이 LPG 공급량을 늘리면서 전 세계의 LPG 공급과잉 현상이 지속될 것”이라며 “아람코가 미국 셰일가스회사와 경쟁하면서 앞으로도 LPG 공급가격을 낮출 것”이라고 내다봤다.
SK가스가 특히 LPG 가격하락에 수혜를 입게 될 것으로 보인다.
SK가스는 지난해 효성과 태광산업, SK종합화학, LG화학 등에 화학제품용 프로판을 공급하면서 국내 LPG시장점유율을 2015년 35.6% 정도에서 지난해 44.3%까지 끌어올렸다. 올해도 프로판 가격이 나프타 가격보다 낮은 흐름을 이어갈 경우 석유화학회사를 상대로 석유화학용 LPG의 판매를 늘릴 수 있다.
SK가스는 지난해 4월부터 자회사 SK어드밴스드를 통해 석유화학용LPG 사업에서 수직계열화 체제를 구축했다. SK어드밴스드는 SK가스가 지분 65%, 사우디아라비아의 화학회사 APC가 지분 35%를 보유하고 있는 합작회사로 한해 49만5천 톤의 프로필렌을 생산할 수 있다.
SK어드밴스드는 프로판을 바탕으로 프로필렌을 생산한다. SK가스가 SK어드밴스드에 프로판을 공급하면 여기에서 프로필렌을 생산해 판매하면서 많은 이윤을 낼 수 있는 것이다.
SK어드밴스드는 지난해 가동된 지 8개월 정도 만에 매출 4617억 원, 영업이익 666억 원을 내면서 SK가스의 알짜회사로 자리매김했다.
증권사의 실적전망을 종합하면 SK가스는 올해 연결기준으로 매출 6조2930억 원, 영업이익 1963억 원을 낼 것으로 추산됐다. 지난해보다 매출은 19.8%, 영업이익은 8.6% 늘어나는 것이다. SK가스가 이 정도 영업이익을 낼 경우 지난해에 이어 올해까지 사상 최대 영업이익을 경신하게 된다.
![]() |
||
▲ 구자용 E1 회장. |
E1은 국내 LPG시장에서 점유율 25%를 차지하고 있지만 지난해 연결기준으로 영업이익 111억 원을 내는 데 그쳤다. 2011년 영업이익 1205억 원을 낸 뒤 영업이익이 매년 곤두박질했다.
E1이 수송용 LPG를 주력사업으로 삼으면서 업황악화로 고전하는 것으로 업계는 파악한다.
LPG차량 신규 등록대수는 2010년 245만9155대로 정점을 찍은 뒤 해마다 2~3%씩 줄어들고 있다. LPG차량은 국가유공자, 장애인, 택시용도 등으로만 구매할 수 있어 신규판매를 늘리기가 어렵다.
1990년대 후반에 판매됐던 LPG차량의 폐차율이 높아지는 점도 수송용 LPG의 판매부진의 요인으로 꼽힌다. LPG차량의 전체 운행대수가 줄어들면서 수송용 LPG 수요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