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이 5월과 10월 황금연휴로 여객수요 증가 덕에 올해 실적이 급증할 것으로 보인다.
신민석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27일 “올해 2분기와 3분기에 각각 5월과 10월 황금연휴가 있다”며 “여객수요가 늘어나는 데 힘입어 제주항공이 올해 실적이 급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 |
||
▲ 최규남 제주항공 사장. |
제주항공은 중국노선 비중이 작아 중국의 사드보복 조치로 받는 타격이 심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홍콩과 마카오를 제외한 중국노선 매출비중은 5%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제주항공은 중국이 전세기 운항을 막은 이후 일본과 동남아노선을 증편하는 등의 방법으로 대응했다.
신 연구원은 “중국 여행을 계획했던 내국인들이 동남아와 일본 등으로 여행지를 변경할 것”이라며 “내국인의 해외여행이 늘어나 제주항공이 수혜를 볼 것”이라고 파악했다.
제주항공은 올해 별도기준으로 매출 9825억 원, 영업이익 912억 원을 거둘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보다 매출은 31.4%, 영업이익은 55.4% 늘어나는 것이다.
제주항공은 1분기 개별기준으로 매출 2402억 원, 영업이익 272억 원을 냈다고 잠정실적을 밝혔다. 지난해 1분기보다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38.7%와 74.6% 늘었다.
신 연구원은 “제주항공은 1분기 국내선 매출이 지난해 1분기보다 4.5% 늘어나는 데 그쳤지만 국제선 매출이 51.0% 늘었다”며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토대로 항공기 보유대수를 늘리며 규모의경제를 달성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박경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