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가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배관망관리 시스템을 도시가스사업자인 ‘삼천리’에 공급한다.
LG유플러스는 국내 가정용 사물인터넷시장을 주도하고 있는데 권영수 LG유플러스 회장은 “올해는 산업용 사물인터넷시장에서도 본격적인 성과를 내겠다”며 의지를 보이고 있다.
◆ LG유플러스, 도시가스 사물인터넷시장 진출
LG유플러스는 24일 서울 용산 사옥에서 삼천리와 사업협약을 체결하고 국내 최초로 협대역 사물인터넷(NB-Io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배관망관리시스템 개발과 보급에 협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 |
||
▲ 권영수 LG유플러스 부회장. |
LG유플러스는 도시지하 곳곳의 가스밸브실에 협대역 사물인터넷기술을 이용한 단말기를 구축해 가스누출이나 폭우에 따른 침수 수위를 관제실에 즉시 상황을 알려주는 원격 모니터링 기능을 수행한다고 설명했다. 배관 부식상태 및 다른 설물의 간섭 여부도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인력이 직접 현장에 출동하지 않더라도 관제센터에서 편리하고 안전하게 가스 배관망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LG유플러스는 스마트 배관망 관리시스템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면 도시가스를 이전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 권영수, 산업용 사물인터넷 성과낼까
권영수 부회장은 LG유플러스의 산업용 사물인터넷사업을 강화하는데 힘쓰고 있다.
권 부회장은 올해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2017에서 “산업용 사물인터넷은 확산속도가 가정용 사물인터넷보다 빠르기 때문에 초기에 성공사례를 만드는 게 중요하다”며 “스마트시티, 스마트공장 등 산업용 사물인터넷에서도 시장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 |
||
▲ 안성준 LG유플러스 사물인터넷 부문장(오른쪽)과 안민호 삼천리 사업본부 전무가 24일 도시가스 스마트 배관망관리시스템 협약을 체결하고 있다. |
권 부회장은 스마트공장 구축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권 부회장은 “LG화학 대산공장에 각종 사물인터넷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공장이 가동에 들어갔는데 올해 안으로 다른 LG그룹 계열사 공장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 부회장은 ‘글로벌 협업’을 통해 LG유플러스의 산업용 사물인터넷 서비스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한다.
LG유플러스와 화웨이는 지난해 11월 LG유플러스의 서울 상암동 사옥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협대역 사물인터넷 표준기술(NB-IoT) 기술 개발에 협력하기로 했다.
권 부회장은 올해 3월 열린 주주총회에서도 “글로벌 기업과 다양한 분야에서 접촉하고 있다”며 미국 버라이즌과 T모바일, 유럽 보다폰, 일본 KDDI와 소프트뱅크, 중국 차이나유니콤, 차이나텔레콤 등을 협력대상으로 꼽기도 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승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