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후보가 모두 뉴스테이(기업형 임대주택)제도를 제한적으로 남겨두겠다는 태도를 보였다.
17일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과 참여연대 등 주거·시민단체 17곳이 주요 대선후보들을 대상으로 주택정책을 질의해 받은 답변서의 분석결과를 보면 문 후보와 안 후보 둘 다 뉴스테이의 혜택을 줄이되 제도 자체는 남겨놓는 데 긍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 |
||
▲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왼쪽)와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후보. |
뉴스테이 공급촉진지구로 지정된 곳은 인허가절차 기간 단축, 취득세 등의 세제 감면, 주택도시기금을 낮은 이율에 융자 등의 지원을 받는다. 이 때문에 정부가 뉴스테이 시공기업에 특혜를 지나치게 줄 수 있다고 지적됐고 박근혜 게이트 이후 존폐 논란이 생겼다.
문 후보는 뉴스테이를 폐지하지 않고 특혜성 택지공급을 제한하겠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시공회사에 주택도시기금을 낮은 이율로 빌려주고 세제를 감면해 주는 지원은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문 후보는 그밖에 공공임대주택을 매년 15만 호씩 공급하기로 했다. 도시재생사업을 연계해 도시지역에 임대주택을 더 많이 공급하고 청년층을 비롯한 주거취약계층에 지원을 확대할 계획도 내놓았다.
안 후보는 뉴스테이의 폐지 여부를 신중하게 검토하겠다고 답변했다. 경실련 관계자는 “전반적인 답변서 내용을 분석한 결과 뉴스테이 정책의 일부 특혜를 제한한 채 지금대로 시행하려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안 후보는 계약갱신청구권을 도입하는 데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계약갱신청구권은 임대차계약이 끝난 뒤 집을 빌렸던 사람이 전세계약을 갱신하도록 요구할 수 있는 제도다. 재계약을 할 경우 전세가격을 기존의 5% 이상 올릴 수 없다.
경실련 등 주거시민단체는 성명서에서 “문 후보는 주거복지 확대를 약속하고 세입자를 보호하는 정책도 조건부로 제시했지만 분양제도를 개편할 의지가 부족해 보였다”며 “안 후보는 임대소득세에 찬성했지만 뉴스테이 등 민감한 정책에 답변을 피한 점이 아쉽다”고 평가했다.
심상정 정의당 대선후보는 뉴스테이 폐지에 찬성했다.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선후보와 유승민 바른정당 대선후보는 주거시민단체의 질의서에 답변하지 않았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