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10개월 연속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국내외 경제여건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금융안정에 중점을 둔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은 13일 이주열 총재 주재로 금융통화위원회를 열어 기준금리를 연 1.25%로 유지하기로 했다. 지난해 6월 0.25%포인트 내린 뒤 10개월 연속 동결했다.
![]() |
||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
한국은행은 “경제성장세가 완만해 물가상승 압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통화정책의 완화기조를 유지할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주요국과의 교역여건, 지정학적 리스크, 미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 추이, 가계부채 증가세 등을 면밀히 점검할 것”이라고 말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당분간 2%수준을 나타내며 연간 전체로는 1월 전망치인 1.8%를 웃돌 것으로 전망했다.
국내경제는 수출과 투자가 개선되면서 성장세가 다소 확대되고 있지만 소비는 여전히 저조한 것으로 판단했다.
가계부채도 금리동결의 주요 요인으로 꼽혔다. 지난해 가계신용 잔액(잠정치)은 1344조3천억 원으로 2015년보다 11.7% 늘었다.
경기부양을 위해 금리를 내리면 가계부채를 더욱 늘리는 요인이 되고 반대로 금리를 올리면 취약가국나 한계기업이 상환부담이 커질 수 있다.
한국은행은 “앞으로 성장세 회복이 이어지고 중기적으로 물가상승률이 목표수준에서 안정될 수 있도록 금융안정에 중점을 두고 통화정책을 운용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