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기가 올해 실적을 개선하는 데 신사업인 PLP(패널레벨패키징)의 성공 여부에 달린 것으로 분석됐다.
노근창 HMC투자증권 연구원은 29일 “삼성전기는 대만 반도체업체 TSMC에 맞설 수 있는 PLP(패널레벨패키징)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며 “올해 내에 제품승인을 마쳐야 실적개선에 기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 |
||
▲ 이윤태 삼성전기 사장. |
삼성전기의 기판사업은 지난해까지 적자를 면치 못한 만큼 신사업으로 실적 반등을 도모해야 하는 필요성이 커졌다.
이윤태 삼성전기 사장은 최근 주주총회에서 “PLP사업에서 올해 첫 매출을 내겠다”며 “이를 시작으로 전장, 웨어러블, 사물인터넷 영역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기는 지난해 중순 PLP사업에 투자를 결정하면서 이 기술을 적용한 제품이 올해 상반기에 승인을 받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 기술은 모바일용 AP를 개발하는 업체가 사용하게 된다.
신사업 외에 AP(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듀얼카메라에 사용되는 부품공급이 확대되는 점은 삼성전기가 올해 실적을 개선하는 데 보탬이 될 것으로 보인다.
노 연구원은 “퀄컴이 중국 AP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며 “삼성전기가 퀄컴에 공급하는 AP용 부품의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삼성전기는 올해 하반기에 출시되는 갤럭시노트8에 듀얼카메라가 탑재될 가능성이 높아 듀얼카메라 공급을 확대할 것으로 예상됐다. [비즈니스포스트 윤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