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가 D램과 낸드플래시의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공정전환에 성과를 내며 올해 반도체 업황개선의 수혜를 크게 볼 것으로 예상됐다.
박유악 키움증권 연구원은 29일 “SK하이닉스의 올해 실적은 기대치를 예상보다 크게 뛰어넘을 것”이라며 “업황호조에 이어 우월한 원가절감능력이 주목받고 있다”고 진단했다.
박유악 키움증권 연구원은 29일 “SK하이닉스의 올해 실적은 기대치를 예상보다 크게 뛰어넘을 것”이라며 “업황호조에 이어 우월한 원가절감능력이 주목받고 있다”고 진단했다.
![]() |
||
▲ 박성욱 SK하이닉스 부회장. |
박 연구원은 올해 SK하이닉스의 D램 생산원가가 지난해보다 11% 줄어든 1기가당 0.34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영업이익률은 지난해 26%에서 올해 49%로 급증할 것으로 추정됐다.
SK하이닉스는 낸드플래시 생산원가를 절감하는 48단 3D낸드 기술을 적용한 제품도 올해 2분기부터 고객사에 본격적으로 공급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낸드플래시의 영업이익률은 지난해 0%에서 올해 20%로 오를 것으로 추정됐다. D램에 이어 낸드플래시도 SK하이닉스의 실적에 본격적으로 기여하기 시작하는 것이다.
박 연구원은 “SK하이닉스의 반도체 원가개선율은 삼성전자를 웃도는 수준으로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며 “D램과 낸드플래시에서 모두 시장경쟁력을 크게 강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SK하이닉스는 낸드플래시 생산원가를 절감하는 48단 3D낸드 기술을 적용한 제품도 올해 2분기부터 고객사에 본격적으로 공급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낸드플래시의 영업이익률은 지난해 0%에서 올해 20%로 오를 것으로 추정됐다. D램에 이어 낸드플래시도 SK하이닉스의 실적에 본격적으로 기여하기 시작하는 것이다.
박 연구원은 “SK하이닉스의 반도체 원가개선율은 삼성전자를 웃도는 수준으로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며 “D램과 낸드플래시에서 모두 시장경쟁력을 크게 강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올해 메모리반도체 업황호조가 이어지며 SK하이닉스는 원가절감효과로 더 큰 수혜를 볼 것으로 전망됐다.
박 연구원은 SK하이닉스가 올해 매출 27조2710억 원, 영업이익 11조480억 원을 낼 것으로 추정했다. 기존 예상치보다 매출은 7%, 영업이익은 20% 늘어난 것이다.
목표주가도 기존 6만8천 원에서 7만2천 원으로 높아졌다.
29일 SK하이닉스 주가는 전일보다 0.98% 오른 5만1300원으로 장을 마쳤다. 4거래일 연속으로 상승세가 이어졌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
목표주가도 기존 6만8천 원에서 7만2천 원으로 높아졌다.
29일 SK하이닉스 주가는 전일보다 0.98% 오른 5만1300원으로 장을 마쳤다. 4거래일 연속으로 상승세가 이어졌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