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드레 코레아 두 라고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 의장이 22일(현지시각) 브라질 벨렝에서 열린 COP30 정기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안드레 코레아 두 라고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 의장은 25일(현지시각) 보도된 파이낸셜타임스 인터뷰에서 "기후총회의 만장일치에 기초한 성격이 행동을 지연시킨다"며 "더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별도 수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유엔 기후총회(COP)는 국제 다자주의 원칙에 따라 참여국 전원이 합의할 수 있는 조치만 최종 합의문으로 확정된다. 이 때문에 기후대응에 반대하는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등 일부 산유국들에 발목을 잡혀 제대로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라고 의장은 "사람들은 기후변화와 싸우는 것보다 자신들이 옳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곤 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라고 의장은 기후총회와 별도로 '행동 의제' 프로세스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기후총회와 달리 모든 국가들의 만장일치가 아닌 기후대응에 관심이 있는 국가나 기업들이 따로 만나 공동 기후목표와 협력에 합의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번 COP30에서는 화석연료로부터의 전환을 명시한 로드맵을 두고 참여국들 사이에서 큰 갈등이 벌어졌다.
유럽연합(EU), 페루, 콜롬비아, 나이지리아 등 80개국은 로드맵을 최종 합의문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했는데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 등 산유국들의 반대에 무산됐다.
라고 의장은 "35개국이 넘는 나라들이 의장단에 접촉해 로드맵이 최종 합의문에 포함횐다면 회담을 결렬시킬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고 전했다.
결국 화석연료로부터의 전환 로드맵은 자발적 이니셔티브로 남았고 COP30 개최국이었던 브라질은 향후 1년 동안 로드맵 이행을 감독하게 됐다.
라고 의장은 "만약 이처럼 어떤 일을 추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된다면 결국 최선책은 그 체제 밖에서 작업을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COP30에서는 핵심 의제였던 '기후재원'과 관련해서도 별다른 소득을 내지 못했다. 참여국들은 기후재원을 확보해야 한다는 것과 조달 목표 시점에는 합의했으나 구체적인 수단에는 합의하지 못했다.
기후재원은 자체적으로 기후대응이 어려운 개발도상국들을 온실가스 배출 책임이 큰 선진국들이 지원해주기 위한 국제 기금이다.
라고 의장은 "기후총회 특유의 만장일치 방식이 재원 조달 출처에 대한 논의를 제한했다"며 "우리는 부담금에 대해 이야기를 전혀 할수가 없었고 그 외에도 자연보호 채무교환 등 여러 재원과 관련해서도 언급할 수 없었다"고 지적했다.
결국 각국의 의견차 때문에 COP30은 최종 합의 도달을 위해 막바지에 17시간에 달하는 마라톤 회의를 거쳐야 했다.
라고 의장은 "회의 막판까지 협상이 매우 긴박했다"고 설명했다.
아나 토니 COP30 집행위원장은 파이낸셜타임스를 통해 "이번 회담이 우리가 원했던 만큼의 성과를 내지는 못했더라도 화석연료로부터의 전환이라는 주제가 다시 살아난 것은 큰 정치적 소득"이라며 "국제 다자주의가 붕괴될 압박 속에서 원하던 속도는 아니지만 나아가야 할 방향으로는 향해 갔다"고 말했다. 손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