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중소기업에서 중견규모로, 중견에서 대기업 수준으로 올라가면 비약적인 생산성 증가가 이루어진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성장하는 기업에 지원을 해야 전반적인 생산성이 강화되고 국가의 잠재성장률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대한상의 "중소기업, '피터팬증후군' 벗어나면 생산성 2배 증가"

▲ 대한상의가 26일 보고서를 통해 중소기업의 생산성이 중견 규모로 크면 2배로, 대기업까지 크면 3.5배로 증가하다고 밝혔다. <대한상공회의소>


대한상공회의소는 26일 발표한 'K-성장시리즈(9): 기업규모별 생산성 추이와 시사점 연구' 보고서를 통해 "중소기업(299명 이하) 사업장의 1인당 평균 노동생산성(연간 부가가치)은 1억3800만 원이고 중견규모 기업(300~1천 명)의 생산성은 2억7680만원으로 2.0배 높아진다"며 "대기업 수준으로 가면 4억8590만 원으로 3.5배 높아지는 것으로 계산됐다"고 밝혔다.

대한상의 측은 "기업규모가 커지면 근로자의 자본장비율이 개선되고, 연구개발(R&D) 지출이 늘어난다. 여기에 규모의 경제, 글로벌 시장 접근성도 제고된다"며 중소기업 규모를 늘리기 위한 제언을 내놨다.

상의는 우선 성장지향형 정책을 제안했다. 피터팬 기업이 피하고 싶어 하는 자산증가에 따른 규제를 없애고, 중소형에 쏠려 있는 지원정책을 성장기업군으로 돌려야 한다는 이야기다.

상의 측은 "중소기업의 중견기업 전환 유예시 단순 기간 연장보다는 그 조건으로 디지털·인공지능전환(DX·AX) 추진 여부를 추가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상의는 둘째로 “AI 전환은 생산성을 급격히 올릴 수 있기 때문에 그 시작점이 되는 ‘스마트팩토리’도입률(현재 19.5%)을 더 높여야 한다”고 지적하며 구체적 방안으로 ‘레트로핏(Retrofit)’을 통한 제조 AX를 제안했다.

기존 노후 장비에 머신 비전·센서를 부착해 데이터를 추출하고 AI로 분석하는 AX 방식이다.

마지막으로 로봇 도입 시점을 앞당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코노믹 저널에 따르면 로봇 도입 기업의 생산량이 미도입 기업에 비해 20~25%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종명 대한상의 산업혁신본부장은 "AI 시대의 특징은 규모에 따른 비용절감이 시현되는 규모의 경제, 하루라도 빨리 내놓은 아이디어가 선점하는 속도의 경제"라며 "중소기업 스스로의 AX 노력과 더불어 기존 중소기업 정책을 제조AI에 맞게 진화시켜 나가야 할 때"라고 말했다. 나병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