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SK바이오팜의 주요 제품인 뇌전증 치료제 엑스코프리가 2026년에도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됐다.
정재원 iM증권 연구원은 25일 SK바이오팜 목표주가 19만 원, 투자의견 매수(BUY)를 새로 제시했다.
25일 SK바이오팜 주가는 12만9천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정재원 연구원은 “엑스코프리 출시 이후 경쟁상황이 있었음에도 매출 상승 추세가 지속되는 상황이며 낮은 원가율, 미국 직판 체제 구축의 이점은 지속될 것으로 판단한다”고 분석했다.
미국 내 관세 관련 리스크가 어느정도 해소된 상황에서 낮은 원가율과 처방량 상승 추세가 유지된다는 점이 엑스코프리 성장을 가속화시킬 요인으로 꼽혔다.
정 연구원은 “엑스코프리 외 기업가치 상승의 소재도 충분한 상황”이라며 “두번째 상업화 제품도 순조롭게 협상 중이며, 회사가 추구하는 새로운 모달리티(치료 접근법)에서의 성과도 기대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SK바이오팜은 2025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7480억 원 영업이익 2600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2024년과 비교해 매출은 36.4%, 영업이익은 170.8% 증가하는 것이다. 김민정 기자
정재원 iM증권 연구원은 25일 SK바이오팜 목표주가 19만 원, 투자의견 매수(BUY)를 새로 제시했다.
▲ SK바이오팜의 주요 제품인 뇌전증 치료제 엑스코프리가 2026년에도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됐다.
25일 SK바이오팜 주가는 12만9천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정재원 연구원은 “엑스코프리 출시 이후 경쟁상황이 있었음에도 매출 상승 추세가 지속되는 상황이며 낮은 원가율, 미국 직판 체제 구축의 이점은 지속될 것으로 판단한다”고 분석했다.
미국 내 관세 관련 리스크가 어느정도 해소된 상황에서 낮은 원가율과 처방량 상승 추세가 유지된다는 점이 엑스코프리 성장을 가속화시킬 요인으로 꼽혔다.
정 연구원은 “엑스코프리 외 기업가치 상승의 소재도 충분한 상황”이라며 “두번째 상업화 제품도 순조롭게 협상 중이며, 회사가 추구하는 새로운 모달리티(치료 접근법)에서의 성과도 기대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SK바이오팜은 2025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7480억 원 영업이익 2600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2024년과 비교해 매출은 36.4%, 영업이익은 170.8% 증가하는 것이다. 김민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