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월20일(현지시각)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30)가 열리는 브라질 벨렝에서 시민단체가 주요 국가 지도자를 비판하는 퍼포먼스 시위를 진행하고 있다. <연합뉴스>
빅테크와 제조업, 금융과 석유화학 등 다양한 업종의 미국 기업들이 COP30 행사에서 잇따라 중장기 기후대응 전략을 제시하며 적극적 태도를 보였다는 평가가 나온다.
로이터는 24일 “미국 정부는 COP30을 앞두고 글로벌 기후대응 의제에 부정적 입장을 고수했다”며 “하지만 미국 기업들은 물러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미국 트럼프 정부는 지구온난화 등 기후위기를 부정하고 재생에너지 지원을 대폭 축소하며 화석연료 생산을 확대하겠다는 정책 기조를 앞세우고 있다.
이에 따라 브라질 벨렝에서 최근 개최된 COP30에 연방정부 대표단도 보내지 않았다.
그러나 로이터 집계에 따르면 포천 100대 기업 가운데 60곳이 올해 COP30에 참여한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열린 COP29에 참석한 50곳의 기업과 비교해 숫자가 늘었다.
마이크로소프트와 구글 등 빅테크 기업, GM, 씨티그룹과 옥시덴탈 등 제조업과 금융, 석유화학 등 여러 업종 기업이 유엔에서 공개한 공식 회의 참석자 명단에 포함됐다.
국제상공회의소는 이와 관련해 “올해 미국 기업들의 기후 정책 참여도는 큰 타격을 받지 않았다”며 “이는 참석률에 분명히 반영됐다”고 전했다.
로이터는 주요 기업 경영진이 기후위기에 따른 비용 증가를 우려하고 있는 만큼 지금은 기후 관련 논의에서 물러날 시점이 아니라고 판단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 CDP는 “미국이 기업의 기후 전략 공개를 의무화하는 연방 규제 도입 계획을 철회했지만 갈수록 많은 업체들이 자발적으로 이를 발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기업 탈탄소를 목표로 하는 연합체 WMBC의 마리아 멘딜루세 CEO는 로이터에 “미국은 글로벌 기후와 에너지 및 산업 정책에서 결정적 역할을 한다”며 “따라서 COP30에 참석한 기업들의 존재는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은 자국 내 정치환경이 불안정한 상황에도 에너지 전환에 따른 경쟁력과 기술 혁신, 안보와 공급망 관련 문제를 인식하고 있음을 투자자들에게 보여주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