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미국의 정책 금리가 고용 둔화로 인해 내년 상반기까지 3%대 초반으로 내려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박성우 DB증권 연구원은 21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보수적 접근을 선택하며 정책금리 인하 시점이 지연될 가능성이 있다”며 “다만 둔화되는 고용시장을 감안하면 내년 상반기까지 정책금리는 3%대 초반 수준까지 인하될 것이라는 전망은 유효하다”고 내다봤다.
9월 미국 비농업 신규 고용은 시장 기대치(컨센서스)를 2배 가량 초과해 11만9천 개 증가했다. 하지만 신규 진입 경제활동인구 가운데 취업자보다 실업자가 더 크게 늘어나면서 실업률은 8월 4.3%에서 9월 4.4%로 상승했다.
박 연구원은 “9월 신규 취업자 수가 5월부터 8월까지의 부진을 딛고 크게 반등했으나 지속성은 제한적일 것”이라며 “12월16일 발표될 10월과 11월 고용보고서에는 일자리 증가가 약화할 공산이 크다”고 설명했다.
9월 일자리 증가는 여가ᐧ숙박 4만7천 명, 정부 2만2천 명, 민간 교육ᐧ보건 5만9천만 명 부문이 주도했다. 제조업이나 전문ᐧ사업 서비스 부문 같은 양질의 일자리 증가는 제한적이었던 것으로 분석됐다.
더불어 트럼프 정부 구조조정 프로그램으로 약 10만 명의 연방정부 직원이 9월 말 공식 퇴직하면서 10월 정부 부문 고용이 대폭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박 연구원은 “9월 명목임금 성장률이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갔다”며 “고용 기반 소비 경제는 둔화되는 방향이지만 급격하게 악화할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전망했다.
전체 비농업 부문 명목임금 성장률은 8월보다 0.32%포인트, 지난해 9월보다 4.65%포인트 증가했다. 현재 관세와 반 이민 정책이 저소득층 소비를 위축시키고 있지만 소득 중위~상위 계층 소비자가 가계 소비지출 성장을 전반적으로 이끌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전해리 기자
박성우 DB증권 연구원은 21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보수적 접근을 선택하며 정책금리 인하 시점이 지연될 가능성이 있다”며 “다만 둔화되는 고용시장을 감안하면 내년 상반기까지 정책금리는 3%대 초반 수준까지 인하될 것이라는 전망은 유효하다”고 내다봤다.
▲ 내년 상반기까지 정책금리가 3% 초반까지 인하될 것으로 전망됐다. 사진은 연준 본부. <미국 연방준비제도>
9월 미국 비농업 신규 고용은 시장 기대치(컨센서스)를 2배 가량 초과해 11만9천 개 증가했다. 하지만 신규 진입 경제활동인구 가운데 취업자보다 실업자가 더 크게 늘어나면서 실업률은 8월 4.3%에서 9월 4.4%로 상승했다.
박 연구원은 “9월 신규 취업자 수가 5월부터 8월까지의 부진을 딛고 크게 반등했으나 지속성은 제한적일 것”이라며 “12월16일 발표될 10월과 11월 고용보고서에는 일자리 증가가 약화할 공산이 크다”고 설명했다.
9월 일자리 증가는 여가ᐧ숙박 4만7천 명, 정부 2만2천 명, 민간 교육ᐧ보건 5만9천만 명 부문이 주도했다. 제조업이나 전문ᐧ사업 서비스 부문 같은 양질의 일자리 증가는 제한적이었던 것으로 분석됐다.
더불어 트럼프 정부 구조조정 프로그램으로 약 10만 명의 연방정부 직원이 9월 말 공식 퇴직하면서 10월 정부 부문 고용이 대폭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박 연구원은 “9월 명목임금 성장률이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갔다”며 “고용 기반 소비 경제는 둔화되는 방향이지만 급격하게 악화할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전망했다.
전체 비농업 부문 명목임금 성장률은 8월보다 0.32%포인트, 지난해 9월보다 4.65%포인트 증가했다. 현재 관세와 반 이민 정책이 저소득층 소비를 위축시키고 있지만 소득 중위~상위 계층 소비자가 가계 소비지출 성장을 전반적으로 이끌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전해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