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우리은행이 한국형 녹색채권을 발행하며 친환경 사업 자금 지원을 강화한다.
우리은행은 기후에너지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주관하는 ‘2025년 한국형 녹색채권 발행 이차보전 지원사업’에 참여해 3년 만기 1500억 원의 녹색채권을 발행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에 조달된 자금은 한국형 녹색분류체계에 부합하는 사업에만 투입된다.
이 사업은 기후에너지환경부 지정 기관의 적합성 평가를 거친 뒤 자금집행의 적정성과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한 사후 보고 절차도 필수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한국형 녹색분류체계란 기업의 활동이 온실가스 감축 및 자원 순환과 같은 환경 목표 달성에 얼마나 기여하는지 판단하는 기준 체계를 말한다.
우리은행은 채권 발행 자금을 무공해 운송 인프라 구축 및 운용, 전기에너지 저장 프로젝트 등 녹색금융 지원 확대에 사용한다.
또 올해 안으로 홈페이지에 자금 배분 내역과 환경 개선 효과를 공시할 계획을 세웠다.
우리금융그룹은 2030년까지 ‘ESG금융 100조 원 지원’을 목표로 친환경 경영, 사회적 가치 창출, 투명경영 강화에 힘쓰고 있다.
그 일환으로 우리은행도 2년 연속 한국형 녹색채권을 발행하며 녹색금융 확산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이번 녹색채권 발행은 정부의 녹색전환 정책에 부응하고 친환경 사업 자금 지원을 확대하기 위한 것”이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녹색경제 활동을 통해 ESG경영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전해리 기자
우리은행은 기후에너지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주관하는 ‘2025년 한국형 녹색채권 발행 이차보전 지원사업’에 참여해 3년 만기 1500억 원의 녹색채권을 발행했다고 14일 밝혔다.
▲ 우리은행이 한국형 녹색채권 1500억 원을 발행했다.
이번에 조달된 자금은 한국형 녹색분류체계에 부합하는 사업에만 투입된다.
이 사업은 기후에너지환경부 지정 기관의 적합성 평가를 거친 뒤 자금집행의 적정성과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한 사후 보고 절차도 필수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한국형 녹색분류체계란 기업의 활동이 온실가스 감축 및 자원 순환과 같은 환경 목표 달성에 얼마나 기여하는지 판단하는 기준 체계를 말한다.
우리은행은 채권 발행 자금을 무공해 운송 인프라 구축 및 운용, 전기에너지 저장 프로젝트 등 녹색금융 지원 확대에 사용한다.
또 올해 안으로 홈페이지에 자금 배분 내역과 환경 개선 효과를 공시할 계획을 세웠다.
우리금융그룹은 2030년까지 ‘ESG금융 100조 원 지원’을 목표로 친환경 경영, 사회적 가치 창출, 투명경영 강화에 힘쓰고 있다.
그 일환으로 우리은행도 2년 연속 한국형 녹색채권을 발행하며 녹색금융 확산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이번 녹색채권 발행은 정부의 녹색전환 정책에 부응하고 친환경 사업 자금 지원을 확대하기 위한 것”이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녹색경제 활동을 통해 ESG경영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전해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