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SK하이닉스 목표주가가 높아졌다.
메모리반도체 시장의 강력한 상승세가 이어질 것이며, SK하이닉스는 역대 3분기 최대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류영호 NH투자증권 연구원은 10일 SK하이닉스의 목표주가를 기존 39만5천 원에서 50만 원으로 상향 조정하고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유지했다.
직전 거래일인 2일 SK하이닉스 주가는 39만5500원에 장을 마쳤다.
류 연구원은 “현재 메모리 환경은 제한적 공급 상황 속에서 강력한 수요로 기대 이상의 가격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며 “이를 기반으로 2026년 D램 평균판매가격(ASP) 성장률은 기존 12.6%에서 19.2%로 상향 조정한다”고 분석했다.
현재 진행 중인 고대역폭메모리(HBM) 계약에서도 메모리반도체 업체들이 유리한 위치를 가져갈 것으로 예상된다.
예상보다 강한 메모리반도체 수요와 제한적 공급으로 기존 범용 D램의 가격이 상승했기 때문이다. 또 고객사가 기존 엔비디아와 AMD 등에서 자체 인공지능(AI) 반도체를 제작하고 있는 빅테크 기업들로 다양화되고 있다.
류 연구원은 “수급이 타이트해지고 있는 메모리 업체들 입장에서는 이번 사이클이 더 길고 강력하게 지속될 가능성이 뚜렸해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SK하이닉스는 3분기 매출 24조6천억 원, 영업이익 11조2천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매출은 39.8%, 영업이익은 58.9% 늘어난 수치다.
이는 역대 3분기 최대 실적이며, 영업이익은 시장기대치인 10조8370억 원을 상회하는 성적이다. 순이익 역시 전년 동기보다 51.7% 늘어난 8조3950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NK투자증권은 SK하이닉스가 올해 영업이익은 2024년보다 70.6% 늘어난 40조 원을 넘기고, 내년 62조8천억 원에 달하는 실적을 낼 것으로 예상했다. 김호현 기자
메모리반도체 시장의 강력한 상승세가 이어질 것이며, SK하이닉스는 역대 3분기 최대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 SK하이닉스가 강력한 메모리반도체 수요 상승세와 함께 올해 3분기 역대 최대 실적을 낼 것이란 증권사 전망이 나왔다. < SK하이닉스 >
류영호 NH투자증권 연구원은 10일 SK하이닉스의 목표주가를 기존 39만5천 원에서 50만 원으로 상향 조정하고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유지했다.
직전 거래일인 2일 SK하이닉스 주가는 39만5500원에 장을 마쳤다.
류 연구원은 “현재 메모리 환경은 제한적 공급 상황 속에서 강력한 수요로 기대 이상의 가격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며 “이를 기반으로 2026년 D램 평균판매가격(ASP) 성장률은 기존 12.6%에서 19.2%로 상향 조정한다”고 분석했다.
현재 진행 중인 고대역폭메모리(HBM) 계약에서도 메모리반도체 업체들이 유리한 위치를 가져갈 것으로 예상된다.
예상보다 강한 메모리반도체 수요와 제한적 공급으로 기존 범용 D램의 가격이 상승했기 때문이다. 또 고객사가 기존 엔비디아와 AMD 등에서 자체 인공지능(AI) 반도체를 제작하고 있는 빅테크 기업들로 다양화되고 있다.
류 연구원은 “수급이 타이트해지고 있는 메모리 업체들 입장에서는 이번 사이클이 더 길고 강력하게 지속될 가능성이 뚜렸해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SK하이닉스는 3분기 매출 24조6천억 원, 영업이익 11조2천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매출은 39.8%, 영업이익은 58.9% 늘어난 수치다.
이는 역대 3분기 최대 실적이며, 영업이익은 시장기대치인 10조8370억 원을 상회하는 성적이다. 순이익 역시 전년 동기보다 51.7% 늘어난 8조3950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NK투자증권은 SK하이닉스가 올해 영업이익은 2024년보다 70.6% 늘어난 40조 원을 넘기고, 내년 62조8천억 원에 달하는 실적을 낼 것으로 예상했다. 김호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