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팀 쉬히 미국 공화당 상원의원(몬태나)이 9월30일 워싱턴D.C. 연방의회 의사당 계단을 걸어 내려가고 있다. <연합뉴스>
과거 셧다운 사례에서 경제성장률이나 주가지수 등 주요 지표가 크게 움직이지 않았다는 점을 근거로 제시했다.
증권사 웰스파고의 더그 비스 분석가는 9월30일(현지시각) 폭스뉴스를 통해 “역사를 살펴보면 정부 폐쇄가 경제와 금융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말했다.
미 상원은 2025회계연도 마감일인 이날 셧다운을 피하기 위한 공화당의 임시예산안을 표결에 부쳤으나 찬성 55 대 반대 45로 부결됐다.
예산안 통과에 필요한 정족수는 60표인데 이를 넘지 못했다.
이에 미국 연방정부는 1일 0시1분(한국시각으로 1일 오후 1시1분)을 기해 셧다운에 들어갔다.
셧다운이란 미국 행정부가 의회로부터 예산안 인준을 받지 못해 연방기관에 자금 지원이 끊기는 사태를 말한다.
셧다운으로 정부 서비스가 중단되거나 연방 직원이 무급휴직에 들어갔지만 미국 경제에 제한적 영향만 간다고 증권사는 본 것이다.
증권사 골드만삭스는 “셧다운이 실업률을 높일 수는 있지만 휴직 상태의 연방정부 직원은 일시 해고로 분류되기 때문에 영향이 미미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국 정부 셧다운이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 또한 크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자산운용사 트루이스트웰스는 1일 NBC뉴스를 통해 “1976년 이수 20차례의 셧다운 기간 동안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평균적으로 거의 변화가 없었다”고 지적했다.
이 외에 달러화나 미국 국채 등 자산 가치도 셧다운으로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NBC뉴스는 전했다.
증권사 JP모간은 NBC뉴스에서 정부 폐쇄로 미국 신용등급이 하락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트럼프 정부가 최근 부채 한도를 상향 조정해 신용등급 강등 가능성은 낮다”고 분석했다. 이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