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기후변화 영향으로 우리나라 상공에서 관측되는 난기류가 최근 5년 사이 13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김위상 국민의힘 의원이 항공기상청으로부터 받아 공개한 자료를 보면 고도 2만 피트(약 6km) 이상 한반도 상공에서 항공기 장비로 관측한 난기류는 2019년 3만7128건에서 지난해 49만4412건을 기록하며 13.3배 늘었다. 
 
국힘 김위상 "기후변화로 난기류 급증, 한반도 상공 난기류 5년 새 13배 증가"

▲ 질의하는 김위상 국민의힘 의원. <김의상 의원실>


연도별로는 △2019년 3만7128건 △2020년 5만8649건 △2021년 7만7011건 △2022년 7만2070건 △2023년 17만3241건 △2024년 49만4412건 순이었다.

특히 기내 음식 서비스나 이동이 어려운 '보통' 강도 이상 난기류는 지난해 3959건으로 집계됐는데 이는 2019년 634건의 약 6배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상공에서 여객기가 난기류를 만나 승객·승무원이 중상을 입은 사고도 늘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김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난기류로 인한 중상(골절 이상) 피해자는 6명인데 이 가운데 3명이 지난해 발생했다.

난기류가 갈수록 늘고 있는 것은 기후변화 영향이 크다고 김 의원은 짚었다. 온난화 여파로 제트기류가 약화되면서 기류 불안정이 커지고 지표면 가열로 열대 지역의 대류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난기류 발생이 잦아진다는 것이다.

김 의원은 "난기류가 항공 안전의 새로운 변수로 자리 잡은 만큼 기상청은 기류 예측 정밀도를 높이고 기상청-관제탑-조종사 간 실시간 정보 공유 체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조성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