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태광산업은 29일 공식 홈페이지에 기존 사업 경쟁력 강화, 신규사업 발굴 등의 세부계획을 담은 IR자료와 유태호 대표이사의 주주서한을 공개했다.
유 대표는 “대표이사로서 처음 주주들에게 서한을 띄우며, 회사의 현재 상황과 앞으로의 계획을 전하고자 한다”며 “그동안 주주와 충분히 소통하지 못한 점에 아쉬움과 송구한 마음을 전한다”고 밝혔다.
회사가 주력 사업인 석유화학과 섬유의 업황 악화로 실적이 후퇴하는 가운데 사업 구조조정과 새로운 포트폴리오를 개발해야 한다고 그는 설명했다.
그는 “수익성이 낮은 사업은 과감히 최적화하고, 높은 수익성 사업은 증설·확장을 통해 경쟁력을 극대화하겠다”며 “부가가치가 높은 사업 중심의 포트폴리오로 재편해 흔들림 없는 수익 기반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석유화학사업본부·섬유사업본부·경영지원본부 등을 아우르는 사업총괄직을 신설했다고 그는 밝혔다.
이부의 태광그룹 미래경영협의회 지원단 기획팀장을 사업총괄로 임명, 기존 사업 재편과 체질개선 작업을 맡겼다.
회사는 가발용 섬유소재 ‘모다크릴’의 시장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방호·방탄, 통신용 광케이블, 고무보강재 등으로 쓰이는 소재 아라미드와 금을 채굴하기 위한 소재인 청화소다(NaCN) 등의 생산설비를 증설한다는 계획을 공개했다.
화장품·부동산·에너지 등 신사업 진출 청사진도 공개했다.
이를 위해 미래사업추진실을 신설하고, 정인철 부사장을 총괄 추진실 임원으로 영입했다.
유 대표는 “태광산업은 K뷰티 산업의 높은 성장성에 주목, 회사 수익구조를 개선할 중요한 기회로 활용할 계획”이라며 “애경산업 투자를 계기로 지속적 투자를 통해 K뷰티 사업 확대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검토할 것”이라고 했다.
태광산업은 현재 티투프라이빗에쿼티, 유안타인베스트먼트 등과 컨소시엄을 결성, 애경산업 인수협상을 벌이고 있다.
신사업 투자금 조달을 위한 교환사채 발행은 주주와 회사의 공동이익을 고려해 추진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유 대표는 “태광산업은 지난 75여년 동안 내실 경영과 무차입 원칙을 지켜오며 재무건전성을 유지해왔지만, 이제는 안정에만 머물 수 없고 미래성장을 위한 새로운 도전이 필요하다”며 “무차입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미래 지향적 투자를 위한 적합한 자금조달 방안을 검토했다”고 말했다.
그는 “일부 주주들이 교환사채 발행과 관련해 주주가치 희석 가능성을 우려했고, 이 과정에서 발행 중단 가처분 소송으로 이어진 점을 회사도 무겁게 받아들이고 있다”며 “대외적으로 불필요한 오해가 발생한 것에 안타까운 마음”이라고 말했다.
부동산 사업에서는 최근 서울 남대문 인근 호텔 코트야드메리어트 인수를 추진하고 있다.
유 대표는 “안정적 수익과 현금흐름을 창출할 수 있는 부동산 개발업도 중요한 성장축”이라며 “글로벌 호텔 브랜드의 신뢰성과 서울 도심에 위치한 핵심 입지를 기반으로 안정적으로 수익을 낼 것”이라고 말했다.
에너지 사업에서는 전선 케이블 소재, 송배전 설비 분야의 기업 인수를 검토한다. 또 장기적으로는 소형모듈원자로(SMR), 신재생에너지 발전 등의 분야의 사업성을 검토해 지분투자 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을 정했다.
회사는 오는 10월1일 사업목적 추가를 위한 정관변경, 이부의 사업총괄의 사내이사 선임 등을 안건으로 하는 임시주주총회를 열 예정이다.
회사는 2027년까지 투자에 집중하고, 2030년까지는 신사업을 안정화 뒤, 2030년부터는 주주환원에 힘쓰겠다는 비전을 공개했다. 신재희 기자
유 대표는 “대표이사로서 처음 주주들에게 서한을 띄우며, 회사의 현재 상황과 앞으로의 계획을 전하고자 한다”며 “그동안 주주와 충분히 소통하지 못한 점에 아쉬움과 송구한 마음을 전한다”고 밝혔다.

▲ 유태호 태광산업 대표이사가 29일 홈페이지에서 공개한 주주서한과 IR자료를 통해 회사의 경영현황과 미래 전략을 공개했다. <태광산업>
회사가 주력 사업인 석유화학과 섬유의 업황 악화로 실적이 후퇴하는 가운데 사업 구조조정과 새로운 포트폴리오를 개발해야 한다고 그는 설명했다.
그는 “수익성이 낮은 사업은 과감히 최적화하고, 높은 수익성 사업은 증설·확장을 통해 경쟁력을 극대화하겠다”며 “부가가치가 높은 사업 중심의 포트폴리오로 재편해 흔들림 없는 수익 기반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석유화학사업본부·섬유사업본부·경영지원본부 등을 아우르는 사업총괄직을 신설했다고 그는 밝혔다.
이부의 태광그룹 미래경영협의회 지원단 기획팀장을 사업총괄로 임명, 기존 사업 재편과 체질개선 작업을 맡겼다.
회사는 가발용 섬유소재 ‘모다크릴’의 시장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방호·방탄, 통신용 광케이블, 고무보강재 등으로 쓰이는 소재 아라미드와 금을 채굴하기 위한 소재인 청화소다(NaCN) 등의 생산설비를 증설한다는 계획을 공개했다.
화장품·부동산·에너지 등 신사업 진출 청사진도 공개했다.
이를 위해 미래사업추진실을 신설하고, 정인철 부사장을 총괄 추진실 임원으로 영입했다.
유 대표는 “태광산업은 K뷰티 산업의 높은 성장성에 주목, 회사 수익구조를 개선할 중요한 기회로 활용할 계획”이라며 “애경산업 투자를 계기로 지속적 투자를 통해 K뷰티 사업 확대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검토할 것”이라고 했다.
태광산업은 현재 티투프라이빗에쿼티, 유안타인베스트먼트 등과 컨소시엄을 결성, 애경산업 인수협상을 벌이고 있다.
신사업 투자금 조달을 위한 교환사채 발행은 주주와 회사의 공동이익을 고려해 추진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유 대표는 “태광산업은 지난 75여년 동안 내실 경영과 무차입 원칙을 지켜오며 재무건전성을 유지해왔지만, 이제는 안정에만 머물 수 없고 미래성장을 위한 새로운 도전이 필요하다”며 “무차입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미래 지향적 투자를 위한 적합한 자금조달 방안을 검토했다”고 말했다.
그는 “일부 주주들이 교환사채 발행과 관련해 주주가치 희석 가능성을 우려했고, 이 과정에서 발행 중단 가처분 소송으로 이어진 점을 회사도 무겁게 받아들이고 있다”며 “대외적으로 불필요한 오해가 발생한 것에 안타까운 마음”이라고 말했다.
부동산 사업에서는 최근 서울 남대문 인근 호텔 코트야드메리어트 인수를 추진하고 있다.
유 대표는 “안정적 수익과 현금흐름을 창출할 수 있는 부동산 개발업도 중요한 성장축”이라며 “글로벌 호텔 브랜드의 신뢰성과 서울 도심에 위치한 핵심 입지를 기반으로 안정적으로 수익을 낼 것”이라고 말했다.
에너지 사업에서는 전선 케이블 소재, 송배전 설비 분야의 기업 인수를 검토한다. 또 장기적으로는 소형모듈원자로(SMR), 신재생에너지 발전 등의 분야의 사업성을 검토해 지분투자 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을 정했다.
회사는 오는 10월1일 사업목적 추가를 위한 정관변경, 이부의 사업총괄의 사내이사 선임 등을 안건으로 하는 임시주주총회를 열 예정이다.
회사는 2027년까지 투자에 집중하고, 2030년까지는 신사업을 안정화 뒤, 2030년부터는 주주환원에 힘쓰겠다는 비전을 공개했다. 신재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