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코스메카코리아의 3분기 실적은 시장기대치에 부합할 전망인데, 미국 법인이 이익 성장을 이끌 예정이다.
키움증권은 26일 코스메카코리아에 대해 투자의견 ‘BUY’를 유지, 목표주가는 8만9천 원으로 상향했다. 직전거래일 25일 기준 주가는 6만82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조소정 키움증권 연구원은 “코스메카코리아의 3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19% 늘어난 1504억 원, 영업이익은 28% 증가한 195억 원으로 시장예상치에 부합할 전망이다. 미국 법인이 성장을 이끌 전망이다.
3분기 국내 법인 매출은 전년 동기대비 19% 증가한 985억 원, 영업이익은 2% 감소한 118억 원을 기록할 전망이다. K-인디 뷰티 브랜드사들의 오더가 증가한 덕분이다.
특히 최근 SNS 바이럴로 판매 호조를 보이고 있는 앰플 제품의 오더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파악된다. 다만 스킨케어 카테고리 뿐 아니라, 상대적으로 수익성이 낮은 색조류도 오더가 함께 늘고 있어서 이익은 소폭 축소될 것으로 예상한다.
3분기 미국 법인 매출은 전년 동기대비 30% 증가한 535억 원, 영업이익은 106% 늘어난 84억 원을 기록할 전망이다. 미국 현지 MBS 채널향 고객사의 수주가 견조한 성장 흐름을 보이고 있고, 일부 국내 인디 고객사들의 OTC오더도 늘어난 덕분이다.
3분기 중국 법인 매출은 전년 동기대비 10% 감소한 118억 원, 영업손실 7억 원을 예상한다. 제조자개발생산(ODM)사간 경쟁 심화 현상이 지속되면서 수주가 감소한 탓이다.
K-인디 뷰티 브랜드의 가파른 성장에 힘입어 국내와 미국 법인 모두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3분기에 이어 4분기에도 국내 법인은 최근 SNS에서 주목받고 있는 브랜드들의 기여가 클 것으로 예상되며, 미국 법인 역시 MBS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고객사가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미국은 당국의 일반의약품(OTC) 기준 강화로 현지 생산 수요가 확대될 가능성이 높아, 고마진 OTC 제품의 수주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조소정 연구원은 “이러한 흐름은 올해에 그치지 않고 내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실적 추정치를 상향 조정한다”고 설명했다.
코스메카코리아의 2025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12.9% 증가한 5920억 원, 영업이익은 29% 늘어난 777억 원으로 추정된다. 장원수 기자
키움증권은 26일 코스메카코리아에 대해 투자의견 ‘BUY’를 유지, 목표주가는 8만9천 원으로 상향했다. 직전거래일 25일 기준 주가는 6만8200원에 거래를 마쳤다.

▲ 코스메카코리아의 2026년 매출액은 6892억 원, 영업이익은 989억 원으로 추정된다. <코스메카코리아>
조소정 키움증권 연구원은 “코스메카코리아의 3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19% 늘어난 1504억 원, 영업이익은 28% 증가한 195억 원으로 시장예상치에 부합할 전망이다. 미국 법인이 성장을 이끌 전망이다.
3분기 국내 법인 매출은 전년 동기대비 19% 증가한 985억 원, 영업이익은 2% 감소한 118억 원을 기록할 전망이다. K-인디 뷰티 브랜드사들의 오더가 증가한 덕분이다.
특히 최근 SNS 바이럴로 판매 호조를 보이고 있는 앰플 제품의 오더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파악된다. 다만 스킨케어 카테고리 뿐 아니라, 상대적으로 수익성이 낮은 색조류도 오더가 함께 늘고 있어서 이익은 소폭 축소될 것으로 예상한다.
3분기 미국 법인 매출은 전년 동기대비 30% 증가한 535억 원, 영업이익은 106% 늘어난 84억 원을 기록할 전망이다. 미국 현지 MBS 채널향 고객사의 수주가 견조한 성장 흐름을 보이고 있고, 일부 국내 인디 고객사들의 OTC오더도 늘어난 덕분이다.
3분기 중국 법인 매출은 전년 동기대비 10% 감소한 118억 원, 영업손실 7억 원을 예상한다. 제조자개발생산(ODM)사간 경쟁 심화 현상이 지속되면서 수주가 감소한 탓이다.
K-인디 뷰티 브랜드의 가파른 성장에 힘입어 국내와 미국 법인 모두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3분기에 이어 4분기에도 국내 법인은 최근 SNS에서 주목받고 있는 브랜드들의 기여가 클 것으로 예상되며, 미국 법인 역시 MBS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고객사가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미국은 당국의 일반의약품(OTC) 기준 강화로 현지 생산 수요가 확대될 가능성이 높아, 고마진 OTC 제품의 수주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조소정 연구원은 “이러한 흐름은 올해에 그치지 않고 내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실적 추정치를 상향 조정한다”고 설명했다.
코스메카코리아의 2025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12.9% 증가한 5920억 원, 영업이익은 29% 늘어난 777억 원으로 추정된다. 장원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