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정부가 성남 분당, 고양 일산 등 1기 신도시의 2026년 정비사업 구역 지정 물량 한도를 애초 약 2만6천가구에서 약 7만가구로 확대한다.

국토교통부는 경기도 및 성남·고양·부천·안양·군포시 등 1기 신도시와 함께 협의체를 개최해 이같은 방침을 정했다고 26일 밝혔다.
 
내년 1기 신도시 정비구역 물량 한도 최대 7만호로 늘려, 2.6배 확대

▲ 1기 신도시 경기 성남시 분당 모습. <연합뉴스>


지역별 내년 정비사업 구역 지정 물량 상한은 일산 2만4800가구, 부천 중동 2만2200가구, 분당 1만2천 가구, 안양 평촌 7200가구, 군포 산본 3400가구 등이다.

국토부는 2030년까지 1기 신도시 정비사업을 통해 6만3천 가구 착공을 목표로 세웠다. 이에 따라 지난해 11월 선정한 1기 신도시 선도지구 15개 구역의 도시정비사업 절차가 차질없이 진행되고 있다.

국토부는 이 가운데 연내 2∼3곳 이상이 정비구역으로 지정될 것으로 바라봤다. 이는 과거 재개발·재건축의 정비구역 지정까지 걸린 평균 기간 30개월과 비교해 18개월 이상 빠른 것이다.

정부가 내놓은 '9·7 부동산 대책'에는 애초 공모 방식으로 선정했던 1기 신도시 선도지구에 주민 제안 방식을 전면 도입하겠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이에 따라 국토부는 기본 계획상 연차별 예정 물량을 초과한 구역 지정 접수도 허용하기로 했다. 

국토부와 1기 신도시 협의체는 질서 있는 정비 사업 추진을 위한 이주 대책 상황도 점검했다. 

분당을 제외한 나머지 4개 지방자치단체는 이주 수요 흡수 여력이 충분한 상황으로 판단됐다. 이에 추가적인 이주 수요 관리 방안 수립의 필요성이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주 여력이 부족한 분당에 대해서는 관리처분 인가 물량을 통제하는 방식으로 이주 대책을 보완할 계획을 세웠다. 

관리처분 인가 물량이란 재개발·재건축에서 조합원에게 배정하거나 일반분양할 수 있는 주택 수를 말하는데 이에 따라 이주대책이 수립된다.

국토부는 1기 신도시 지역별로 향후 5개년 관리처분 가능 물량 예측치를 조사해 오는 11월 중 공개할 방침을 정했다. 
장상유 기자